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아들은 신체접촉 놀이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20명,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20명을 배정하고, 이들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김경희(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와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접촉놀이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구성...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7; no. 4; pp. 471 - 48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아들은 신체접촉 놀이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20명,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20명을 배정하고, 이들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김경희(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와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접촉놀이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구성요소인 타인정서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이용, 감정조절, 교사관계, 또래관계에 친사회적행동 하위요소인 지도성, 도움주기, 주도적 배려, 나누기, 감정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contact pla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40 5-year old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Of these young children, 20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hysical contact play was used, and the other 20 were assigned to a controlled group, in which the physical play activities were notused. Furthermore, a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f the subject`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 rating scale of preschool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for teachers developed by Kim(1998) and the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 by Kim(2003) are used.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s physical contact play experiences affected the sub-elements of young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others` emotions, use of their own emotion, adjustment of sentiments, relations with their teachers, and relations with their peers and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ub-elements of young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s including leadership, helping others, initiative considerations, sharing, and adjustment of sentiments.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4.17.4.006 |
ISSN: | 1229-0858 2384-0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