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의 표지자로서 혈청 procalcitonin의 임상적 유용성

목적: 요로감염은 소아에서 흔한 세균성 감염 중의 하나로, 특히 영아에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인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에 혈청 procalcitonin (PCT)이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여 유용한 비 침습적인 진단적 표지자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로감염에서 급성 신우신염을 구분함에 있어 혈청 PCT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요로감염을 진단 받고 입원한 생후 1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영아 46명을 대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29; no. 6; pp. 716 - 724
Main Authors 조민현, Min Hyun Cho, 양은애, Eun Ae Yang, 박준석, Jun Seok Park, 이상우, Sang W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장학회 30.11.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11-9132
2211-914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요로감염은 소아에서 흔한 세균성 감염 중의 하나로, 특히 영아에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인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에 혈청 procalcitonin (PCT)이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여 유용한 비 침습적인 진단적 표지자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로감염에서 급성 신우신염을 구분함에 있어 혈청 PCT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요로감염을 진단 받고 입원한 생후 1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영아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후 정맥용 항생제 투여 전에 말초 혈액 백혈구 수, ESR, 혈청 CRP, 혈청 PCT 수치를 측정하였고 치료 기간 중에 99mTc-DMSA 신스캔을 시행하여 신우신염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급성 신우신염군과 하부 요로감염군 사이에 나이, 성별, 소변 배양검사에서 배양되는 균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입원 전 발열기간과 입원 후 발열기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ESR, 혈청 CRP, 혈청 PCT는 급성 신우신염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급성 신우신염을 감별하는데 혈청 PCT과 CRP는 거의 동일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으며 ESR, 혈청 CRP, 혈청 PCT의 동시 측정시 더 높은 특이도와 정확도를 보였다. 심한 급성 신우신염군인 그룹 2에서는 혈청 PCT (cutoff: 1 ng/mL)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85.7%와 76.9%로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혈청 PCT은 급성 신우신염을 진단하는데 CRP보다 더 좋은 염증 표지자는 되지 못하나, ESR, 혈청 CRP와 함께 검사시 기존 염증 표지자들의 진단적 정확도와 특이도를 높여 급성 신우신염 진단에 도움이 되며, 급성 신우신염에 의한 신실질 손상 정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염증 표지자로 생각된다. Purpose: The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procalcitonin (PCT) was evaluated for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APN) in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Methods: A total of 46 infants (between 1 and 12 months of a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Laboratory studies including the WBC coun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serum C-reactive protein (CRP) and PCT were measured before initi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 treatment and a 99mTc-DMSA renal scan was performed during treatmen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age, gender and microorganisms detected between the patients with a lower UTI and those with APN. The duration of fever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APN group. Except for the WBC count,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ESR, serum CRP and PCT levels detected in the APN group. Although the serum CRP and PCT showed simila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APN,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he ESR, serum CRP and PCT increased the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the diagnosis of APN. Furthermore, only the serum PC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no or only a very mild renal lesion (group 1) and the groups with significant renal lesions (group 2). Conclusion: The serum PCT combined with the ESR and serum CRP was a helpful marker for the diagnosis of APN. In addition, the serum PCT could be a useful predictor of the severity of renal parenchymal involvement associated with APN.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G704-000889.2010.29.6.028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