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형태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고생의 Apo A-I, Apo B와 CRP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16주간 운동형태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po A-I, Apo B와 CRP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BMI 25 kg/㎡ 이상인 비만 여고생 31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유산소 운동, 저항성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16주간 각각 적용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Apo A-I은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Apo B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Exercise science (Seoul, Korea) pp. 309 - 317
Main Authors 박근양, 김정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운동생리학회 30.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1726
2384-0544
DOI10.15857/ksep.2013.22.4.3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16주간 운동형태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po A-I, Apo B와 CRP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BMI 25 kg/㎡ 이상인 비만 여고생 31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유산소 운동, 저항성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16주간 각각 적용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Apo A-I은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Apo B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RP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Apo A-I, CRP에서 의미 있는 개선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운동형태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비만 여고생의 혈관계와 염증 개선에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n Apo A-I, Apo B and CRP in obese high school girls when the different modalities of exercise programs are implemented for 16 weeks. Thirty one obese high school girls with BMI over 25 kg/㎡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in three groups: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or combined exercise. After the exercise session, Apo A-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A po B d idn’t make a s ignificant d ifference though i t ha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three groups. CRP was significantly d ecreased in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or combined exercise group. In summary, all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po A-I and CRP. It indicates that the different modalities of exercise programs implemented in this study are of great value as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the blood vessel system and reducing obesity and inflammation in obese high school girls.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712.2013.22.4.010
ISSN:1226-1726
2384-0544
DOI:10.15857/ksep.2013.22.4.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