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선종 환자와 정상인에서 혈중 렙틴 농도와 대장 점막 렙틴 발현과의 상관관계
목적: 비만은 대장 선종 및 대장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발생기전 중 하나로 렙틴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만유전자의 산물인 렙틴은 음식 섭취와 에너지 소비에 따라 지방세포에서 생산되는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 체질량지수(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세포의 증식, 혈관신생 및 세포자멸사의 억제와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혈중 렙틴 농도와 대장 선종에서의 렙틴 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장내...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63; no. 6; pp. 354 - 360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30.06.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목적: 비만은 대장 선종 및 대장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발생기전 중 하나로 렙틴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만유전자의 산물인 렙틴은 음식 섭취와 에너지 소비에 따라 지방세포에서 생산되는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 체질량지수(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세포의 증식, 혈관신생 및 세포자멸사의 억제와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혈중 렙틴 농도와 대장 선종에서의 렙틴 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대장 선종이 발견된 60명의 선종군과 성별, 나이에 맞추어 짝지은 정상 대조군 6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의 조직생검에서 렙틴의 발현 및 혈중 렙틴 농도를 비교하였고, 대장 선종군에서 렙틴 발현과 비만도, 선종의 크기, 대장암 동반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장 선종군 60명과 정상인 60명의 평균 연령은 각각58.4±8.9세, 56.7±9.5세, 평균 BMI 23.3±2.6 kg/m2,24.2±2.2 kg/m2로 차이가 없었다. 선종군에서 평균 혈중 렙틴 농도는 4.35±4.47 ng/mL로 정상인의 평균 렙틴 농도3.63±2.96 ng/m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렙틴 양성발현율은 선종 조직에서 43.3%로 정상 대장 점막 6.7%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01). 선종조직 렙틴 양성발현군의 혈중 렙틴 농도는 음성군과 차이가 없었다. 대장 선종군 중 BMI 25 kg/m2 이상인 비만군에서 대장 선종의 렙틴 양성발현율이 80%로 현저히 높았고, 렙틴양성인 선종의 평균 크기는 음성인 경우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선종에 선암이 동반된 경우 렙틴 양성발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혈중 렙틴 농도와 대장 선종에서의 렙틴 발현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장 선종 중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비만이나 선암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조직에서의 렙틴발현이 높았다.
Background/Aims: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and adenomatous polyp, and on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is increas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of adipokines, such as leptin. In order to investigatethis finding, leptin expression in the colonic tissue and blood leptin concentration of the colonic adenoma patient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Methods: Colonic adenoma tissues were obtained by polypectomy (n=60). In these patients, normal colonic mucosa at remote areas from the polyp was also obtain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s well. Age and sex matched control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showed normal colonic mucosa in health screening colonoscopy (n=60).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leptin concentration between the colonic adenoma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Leptin expression was noted in 43.3% of the colonic adenomas, but only in 6.7% of normal colonic mucosa fromthe control subjects (p<0.01). There were ten cases of concurrent adenocarcinoma in situ in adenoma patients, eight cases of which expressed leptin (p=0.01). In adenoma group, leptin exp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 in larger adenomas and in obese pati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ptin expression in colonicmucosa and serum leptin level. Conclusions: Leptin express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olonic adenomas, especially in larger adenomas associated with adenocarcinoma in situ, but blood leptin level was not related to tissue leptin expression. Leptin express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obese patients from the adenoma group. Therefore, lepti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lonic tumori-genesis and progression, especially in obese patient. (Korean J Gastroenterol 2014;63:354-360)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14.63.6.002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