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발견에 있어 철결핍 지표들의 유용성

목적: 위암을 포함한 소화관 암들은 표면에서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출혈을 일으켜 철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암 환자에서는 철결핍 지표들이 저하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이용하면 위암 발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알아보고자 위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철결핍 지표들을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행성 위암 환자 71명, 조기 위암 환자 13명, 대조군 104명에 대해 각 군의 혈색소, 혈청 ferritin, 혈청 철, TIBC, transferrin 포화도 등 철결핍 지표들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39; no. 3; pp. 179 - 185
Main Authors 정진모, Jin Mo Jung, 한철주, Chul Ju Han, 홍영준, Young Joon Hong, 조현호, Hyun Ho Cho, 김영호, Young Ho Kim, 최대현, Dae Hyun Choi, 조상형, Sang Hyung Cho, 조광희, Kwang Hee Cho, 김진, Jin Kim, 정숙향, Sook Hyang Jung, 김유철, You Choul Kim, 이진오, Jhin Oh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01.03.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위암을 포함한 소화관 암들은 표면에서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출혈을 일으켜 철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암 환자에서는 철결핍 지표들이 저하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이용하면 위암 발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알아보고자 위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철결핍 지표들을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행성 위암 환자 71명, 조기 위암 환자 13명, 대조군 104명에 대해 각 군의 혈색소, 혈청 ferritin, 혈청 철, TIBC, transferrin 포화도 등 철결핍 지표들과 MCV, MCHC, MCH 등 적혈구 지표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 군의 철결핍 및 빈혈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혈색소, 혈청 ferritin, 혈청 철, transferrin 포화도 등이 진행성 위암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으며, 특히 남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반면 조기 위암 환자군에서는 이들 지표들이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행성 위암을 가진 남자에 대해 이들 지표들의 예민도는 30-60%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특이도는 90-100%로 대단히 높았으며, 빈혈 및 철결핍의 빈도도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진행성위암 환자들에서 혈색소, 혈청 ferritin, 혈청 철, transferrin 포화도 등의 철결핍 지표들이 저하되어 있고 특히 남자에서 현저하기 때문에 위암의 호발 연령에 접어 든 남자에서는 이러한 검사들이 진행성 위암 발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Aims: Cancer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might cause chronic occult blood loss leading to iron deficien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the tests for iron deficiency in detection of stomach cancer. Methods: Seventy one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GC), 13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104 patients with functional GI disorder (FGID) as a control were consecu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The test results for iron-deficiency parameters such as hemoglobin, serum ferritin, serum iron, total iron binding capacity, and transferrin-saturation rates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Incidence of iron deficiency or anemia was compared among the groups. Results: The levels of hemoglobin, serum ferritin, serum iron, and the rates of transferrin satu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GC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se differences were even marked in male patients.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GC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male patients with AGC, the incidence of anemia or iron deficiency was marked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In males over 50 years, tests for iron-deficiency parameters such as hemoglobin, serum ferritin, serum iron, and transferrin saturation might be helpful in detection of AGC.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veal whether these tests are helpful in the early detection of stomach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2;39:179-185)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2.39.3.005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