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을 가진 초산모의 조산

임신과 관련하여 자궁선근증은 불임, 초산임신에서의 자연적인 자궁파열,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수, 산후출혈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본원에서는 자궁선근증을 가지고 임신된 초산모를 임신 29주까지 유지한 후 조산하게 된 경험을 하게 되었다. 임신기간 중 산모는 반복적인 조기진통과 다양한 진통제에도 잘 조절되지 않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였고,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양수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서 결국 임신 29주에 조산으로 분만하게 되었다. 수술 후 태아는 27일만에, 산모는 6일 만에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53; no. 1; pp. 70 - 74
Main Authors 고정화, Jung Hwa Ko, 윤상희, Sang Hee Yoon, 강현정, Hyun Jung Kang, 권한성, Han Sung Kwon, 손인숙, In Sook Sohn, 황한성, Han Sung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산부인과학회 15.01.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8572
2287-858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임신과 관련하여 자궁선근증은 불임, 초산임신에서의 자연적인 자궁파열,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수, 산후출혈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본원에서는 자궁선근증을 가지고 임신된 초산모를 임신 29주까지 유지한 후 조산하게 된 경험을 하게 되었다. 임신기간 중 산모는 반복적인 조기진통과 다양한 진통제에도 잘 조절되지 않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였고,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양수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서 결국 임신 29주에 조산으로 분만하게 되었다. 수술 후 태아는 27일만에, 산모는 6일 만에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저자들은 초산모에게는 드물게 생기며, 여러 가지 위험요인을 안고 있는 자궁선근증과 동반된 임신을 경험하였고, 임신 29주까지 성공적으로 임신을 유지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denomyosis has been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infertility,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during labor in a primiparous woman, spontaneous preterm labo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and delayed postpartum hemorrhage.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preterm delivery at 29 gestational weeks in a primigravid woman with uterine adenomyosis. We report the case of preterm delivery accompanied by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uncontrolled pain, preterm labor, and oligohydramnios in a woman with uterine adenomyosis.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G704-000834.2010.53.01.008
ISSN:2287-8572
2287-8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