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 주도적으로 진로활동내용을 기록하고 활동결과를 정리하고 축적하는 방식의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N여자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생 48명이었으며, 두 학급 중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24명 학생들에게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시간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
Saved in:
Published in | 여성학연구 Vol. 25; no. 2; pp. 41 - 7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30.06.2015
여성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50X 2713-7538 |
DOI | 10.22772/pnujws.25.2.201506.41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 주도적으로 진로활동내용을 기록하고 활동결과를 정리하고 축적하는 방식의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N여자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생 48명이었으며, 두 학급 중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24명 학생들에게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시간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12주 동안 14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일반적인 형태의 진로교육을 하였다. 진로성숙도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ㆍ사후에 실시한 후 효과정도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 활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에서 산출된 자신과 직업세계에 관한 정보를 학생이 스스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진로설계를 하도록 하여 진로성숙이 일어나고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켰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ortfolio-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48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7th grade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2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s experimental group and a further 24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s has taken the portfolio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as an intervention. Th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session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 were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n ANCOVA was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mpared to a controlled group, there was a positive development in an experimental group i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attitude to work among the constructs of career maturity. Secon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portfolio made an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7th grade middle school girls. Especially, in selecting goals and career inform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portfolio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girls. |
---|---|
Bibliography: | Women`s Studies Center , Pusan National University G704-SER000011351.2015.25.2.003 |
ISSN: | 1598-950X 2713-7538 |
DOI: | 10.22772/pnujws.25.2.201506.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