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에서 발현된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의 임상적 , 조직학적 특징
목 적 :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은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해 형성된 면역 복합체가 사구체 기저막에 연하여 침착됨으로써 유발되는 면역 질환이다. 학동기 전후 연령의 소아 및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고 고령층에서는 발생이 드물며 장기적인 예후 또한 차이가 있다. 이에 저자는 성인에서 발생한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 신염에 대한 임상적, 조직학적 고찰을 통해 연령에 따른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임상적, 조직학적으로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 받은 16...
Saved in:
Published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20; no. 5; pp. 834 - 837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신장학회
01.09.200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11-9132 2211-9140 |
Cover
Summary: | 목 적 :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은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해 형성된 면역 복합체가 사구체 기저막에 연하여 침착됨으로써 유발되는 면역 질환이다. 학동기 전후 연령의 소아 및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고 고령층에서는 발생이 드물며 장기적인 예후 또한 차이가 있다. 이에 저자는 성인에서 발생한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 신염에 대한 임상적, 조직학적 고찰을 통해 연령에 따른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임상적, 조직학적으로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 받은 16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군은 25명이었다. 발병 연령에 따라 30세 미만을 청년층으로, 30세 이상을 중년층으로 구분하였고, 조직 검사상 사구체 간질, 내피세포의 증식과 호중구 침착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조기 경증 소견으로, 반월형, 경화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를 후기 중증 소견으로 분류하였다. 연령층에 따라 임상적, 조직학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T -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결 과 : 중년층에서 신기능 장애, 즉 사구체 여과율 감소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연령이 증가할 수록 조직 소견상 후기 중증 소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BUN, serum creatinine, serum albumin, 24 hurine total protein, C3, ASO, IgG, IgA, IgM 등에서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발병 연령이 증가할 수록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으로 인한 신기능의 저하가 현저함에 따라, 고령층의 신증후군, 신염 등에서 신기능의 저하를 보이는 경우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향후 신기능의 보존 및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G704-000889.2001.20.5.016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