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시뮬레이터의 보행형태에 따른 청,장년의 심박수,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MET, 칼로리소비량의 변화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가미한 승마시뮬레이터의 운동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대 남ㆍ여 각 10명, 40대 남ㆍ여 각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분당 심박수, 분당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분당 칼로리소비량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11단계(평보, 속보, 구보 습보, 박차평보, 박차속보, 박차구보 박차습보, 점프구보, 점프습보, 게임)의 과정을 5분씩 기승해서 얻은 호흡가스분석 자료(산소섭취량, 환기량, MET, 칼로리소비량)를 토대로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일반보행 형태별 결과 : 승마...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15; no. 1; pp. 1 - 13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0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가미한 승마시뮬레이터의 운동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대 남ㆍ여 각 10명, 40대 남ㆍ여 각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분당 심박수, 분당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분당 칼로리소비량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11단계(평보, 속보, 구보 습보, 박차평보, 박차속보, 박차구보 박차습보, 점프구보, 점프습보, 게임)의 과정을 5분씩 기승해서 얻은 호흡가스분석 자료(산소섭취량, 환기량, MET, 칼로리소비량)를 토대로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일반보행 형태별 결과 : 승마시뮬레이터의 일반보행형태별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01.00∼150.0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1.03∼21.27ml/kg/min, 분당 환기량은 약 18.96∼42.94ml/min, MET는 약 3.40∼6.00, 칼로리소비량은 약 3.52∼6.70kcal/min에 해당되었고 보행속도와 강도 변화에 따라 증가 양상을 보였다. ② 박차를 겸비한 보행 형태별 결과 : 박차를 겸비한 승마시뮬레이터의 보행형태별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12.27∼156.4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3.65∼21.69ml/kg/min, 분당 환기량은 약 26.59∼46.37ml/min, MET는 약 3.80∼6.30, 분당 칼로리소비량은 4.78∼7.32kcal/min으로 나타났다. 일반보행보다는 박차를 겸비한 운동이 높은 운동효과를 나타내었고, 동 연령대에서 남성들이 여성 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40대가 2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③ 점프구보, 점프습보와 게임시 결과 : 승마시뮬레이터의 점프 구보, 점프습보, 게임 시의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29.90∼156.0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9.57∼25.81ml/kg/min, 분당환기량은 약 38.43∼66.12ml/min, MET는 약 5.60∼7.50, 분당칼로리소비량은 5.82∼9.00kcal/min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승마시뮬레이터의 운동생리적 변화는 성별, 보행형태와 박차를 겸비하는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므로 준비운동부터 본 운동까지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트레드밀 운동과는 달리 가상현실을 통 해 실제 승마와 같은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희적인 요소, 승마라는 고급스포츠의 이미지와 운동적인 이미지 결합 등이 승 마시뮬레이터 운동의 장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official approval research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with imaginary actuality as a exercise equipment.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40 men and women (10 twenty`s men, 10 twenty`s women, 10 fourty`s men and 10 fourty`s women). They participated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11 level(the walk, the trot, the canter, the gallop, the kick-walk, the kick-trot, the kick-canter, the kick-gallop, the jump-canter, the jump-gallop) for five minutes riding wearing gasmasks in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 exercise physiology laboratory. The exercise physiology variables were HR, VO2, VE, MET and Calory expendi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① The effect of general walking type on horseback-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01∼ 150beats/min, the VO2 were about 11.03∼21.27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18.96∼ 42.94ml/min, the MET were about 3.4∼6.0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3.52∼ 6.70kcal/min. ② The effect of kick- walking type on horseback-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12∼156beats/min, the VO2 were about 13.6∼21.69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26.59∼46.37 ml/min, the MET were about 3.8∼6.3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4.78∼7.32kcal/min. ③ The effect of jump-canter, jump-gallop and game type on horseback- 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29∼156beats/min, the VO2 were about 19.57∼25.81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38.43∼66.12 ml/min, the MET were about 5. 6∼7.5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5.82∼8.96 kcal/min. In conclusion, the exercise physiological changes were founded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depending on various walking types and the effect of simulator riding had similar effect in real horse riding.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Various horseback riding program should be fully developed. |
---|---|
Bibliography: | G704-000739.2004.15.1.009 |
ISSN: | 1598-2920 2233-7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