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우울 및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 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취업 스트레스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계획 다시생각하기``와 ``긍정적 재평가`` 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aved in:
Published in | 인간이해 Vol. 32; no. 1; pp. 103 - 11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0.06.2011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0860 2671-582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우울 및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 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취업 스트레스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계획 다시생각하기``와 ``긍정적 재평가`` 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수용`` 요인을 제외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요인 중 ``계획 다시생각하기`` 가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valuated the model in whic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link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N = 380) showed that job-seeking 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wo subscales of regulation strategies (i.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appraisal``), and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of the sub-scales of regulation strategies except for ``Acceptance``.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The link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Refocus on plann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
---|---|
Bibliography: |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G704-SER000001572.2011.32.1.006 |
ISSN: | 2005-0860 2671-5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