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위험인자로서의 비알코올지방간질환; 경동맥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

목적 : 비 알코올지 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비만, 고지혈증, 언슐린저항성, 제2형 당뇨병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고, 이는 NAFLD가 대사증후군의 하나의 간내 발현일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NAFLD와 대사증후군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관섬이 증가되어 가면서 대사증후군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듯 NAFLD의 존재가 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 자가 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잠재적인 동맥경화를 진단하는 비침습적인 검사인 경동맥초음파검사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Vol. 14; no. 1; pp. 77 - 88
Main Authors 최수연, Su Yeon Choi, 김동희, Dong Hee Kim, 강진화, Jin Hwa Kang, 박민정, Min Jung Park, 김영선, Young Sun Kim, 임선희, Seon Hee Lim, 김충현, Chung Hyeon Kim, 이효석, Hyo Suk Lee, Min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간학회 25.03.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비 알코올지 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비만, 고지혈증, 언슐린저항성, 제2형 당뇨병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고, 이는 NAFLD가 대사증후군의 하나의 간내 발현일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NAFLD와 대사증후군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관섬이 증가되어 가면서 대사증후군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듯 NAFLD의 존재가 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 자가 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잠재적인 동맥경화를 진단하는 비침습적인 검사인 경동맥초음파검사를 통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경동맥 플라크의 유무를 NAFLD군과 정상군 사이에 비교 분석하여 NAFLD가 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fff1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에서 복부초음파와 경동맥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연구에 동의한 823명 중 알코올 음주력과 심혈관계 질환의 과거력이 없고 혈청검사로 B형, C형간염 이 없는 6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AFLD군과 정상군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간기능 검사와 지질검사, 인슐린, 기타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측정하였고, 양 군 간에 경동맥초음파검사를 통해 구한 내중막 두께와 경동맥 플라크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NAFLD군은 314명(47.6%)이고 정상군은 345명이었다.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인구학적, 생화학적 인자들로는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AST, ALT, γ-GT, 요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공복인슐린,HOMA지수, 당화혈색소, PAI-1이었다. 양군간에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을 비교하면 NAFLD군이 0.817±0.212 mIll이고 대조군이 0.757±0.198 mm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oo1) 경동맥 플라크의 경우 NAFLD군에서는 26.4%에서 플라크가 존재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15.9%에서 플라크 가 존재하여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o.oo1),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와 대사증후군의 모든 인자를 보정하여 시행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나이, NAFLD, 대사증후군의 인자 중혈압 상승과 공복혈당의 상승이 경동맥 동맥경화 와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NAFLD는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대사증후군과 상관관계를 보정한 후에도 NAFLD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증가하고 경동맥 플라크의 발생빈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NAFLD는 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 인 위험인자로 고려할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losely associated with abdominal obesity,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which are all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lucidate whether NAFLD is associated with carotid atherosclerosi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659 subjects without hepatitis B and C infections and who did not consume alcohol. Fatty infiltrations of liver were detect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plaque prevalence were estimated by carotid ultrasonography. Results: The mean values of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s, body mass index (BMI),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uric aci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homeostasis model of assessment (HOMA) index, hemoglobin A1c,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patients with NAFLD (n=314) and normal controls (n=345). The carotid IMT was 0.817±0.212 (mean±SD) mm in patients with NAFLD and 0.757±0.198 mm in normal controls (p<0.001). The prevalence of carotid plaque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NAFLD (26.4%) than in normal controls (15.9%) (p<0.001). This association persisted significantly after adjusting for age, sex, BMI, HOMA index and individual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Patients with NAFLD are at a high risk of carotid atherosclerosis regardless of metabolic syndrome and classic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refore, the detection of NAFLD should alert to the existence of an increased cardiovascular risk. Moreover, NAFLD might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Hepatol 2008;14:77-88)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G704-001530.2008.14.1.006
ISSN:2287-2728
2287-2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