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 우연종 132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연구배경: 최근 들어 외국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부신 우 연종의 발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괴의 특성에 대해 많은 외국 보고가 있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몇몇 보고를 제외하고 아직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발견되는 부신 우연종에 대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에서 보고된 진료나 치료 지침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가 의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0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건강 검진 및 부신 질환과 무관한 증세로 촬영된 CT, USG 및 MRI 등의 검사에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Vol. 22; no. 4; pp. 260 - 265
Main Authors 정현승, Hyun Seung Jeong, 김희정, Hee Joung Kim, 김해성, Hae Sung Kim, 김상완, Sang Wan Kim, 신찬수, Chan Soo Shin, 박도준, Do Joon Park, 박경수, Kyung Soo Park, 장학철, Hak Cheol Jang, 김성연, Seong Yeon Kim, 조보연, Bo Youn Cho, 이홍규, Hong K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분비학회 30.08.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최근 들어 외국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부신 우 연종의 발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괴의 특성에 대해 많은 외국 보고가 있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몇몇 보고를 제외하고 아직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발견되는 부신 우연종에 대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에서 보고된 진료나 치료 지침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가 의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0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건강 검진 및 부신 질환과 무관한 증세로 촬영된 CT, USG 및 MRI 등의 검사에서 부신 종괴가 발견된 총 132예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대, 성별, 환자의 기왕력, 종괴의 위치 및 크기, 기능성 여부 및 조직학적 소견 등에 대한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부신 우연종을 갖는 132명 중 60대에서 전체 종양의 31%가 발견되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성별로는 남성에서 62.1%, 여성에서는 37.9%가 발견되었다. 좌측 53%로 우측 43.2%보다 약간 높은 빈도였으며 양측성은 3.8%를 나타내었다. 크기에 있어서 1 cm 이상 4 cm 미만 크기의 종양이 전체의 66%를 차지하였고 이중, 69.7%가 영상촬영 소견에서 선종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갈색세포종과 악성 종양은 모두 4 cm 이상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기능성 종양은 132명 중 18명에서 나타났으며 이중 갈색세포종이 12명으로 67%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악성 종양은 132명 중 3명에서 나타났으며 2명은 원발성(1.5%), 1명은 전이성 종양(0.8%)이었다. 결론: 본원에서 발견된 부신 우연종의 특성은 이전의 외국 보고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진료나 치료 방침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 Recently, the detection rate for adrenal incidentaloma in Korea has been on the increase. We describe he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tumors and describe appropriate guidelin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We analyzed age, sex, location, size, function, and the pathological findings for 132 patients with an adrenal mass by CT, USG, and MRI undertaken for health examinations or non-adrenal disease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05. Results: Adrenal masses were most commonly found in patients in their sixties (31%). 62.1% of the patients were men and 37.9% were women. For the location of the masses, 53% were found in the left gland, 43.2% were found in the right gland and 3.8% were found in both glands. Of all of the masses analyzed, 66% were 1 cm to 4 cm in size, and an adenoma-like appearance was the most common finding (69.7%) seen in images. All of the pheochromocytomas and carcinomas were above 4 cm in size. Patients with a functional mass were seen in 18 cases (13.6%) and pheochromocytomas were seen in 12 cases (67%). Three patients were found with cancer (2.3%), two cases (1.5%) of a primary carcinoma and one case of a metastasis (0.8%). Conclusion: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benign nonfunctional, functional and malignant masses that were found in our hospital were similar to those presented in studies conducted outside of Korea.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apply previously established guidelines to domestic patients. (J Kor Endocrine Soc 22:260~265, 2007)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G704-001505.2007.22.4.010
ISSN:2093-596X
2093-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