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시기로 나타난 만 4-6세 유아의 어머니 604명이었다.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각 변인을 측정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7; no. 4; pp. 453 - 469
Main Authors 최나리, Na Lee Choi, 진미경, Mi Kyoung 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시기로 나타난 만 4-6세 유아의 어머니 604명이었다.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각 변인을 측정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사성향은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감사성향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완충해주는 긍정적인 조절변인인 감사성향의 역할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The participates comprised 604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 Second, gratitude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Lastly,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seen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gratitude among the mothers.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which tend to serve as a buffer between two variables.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4.17.4.004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