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복합지역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질적연구: 생태체계적 요인 및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청소년의 학업중단관련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학업중단으로 이끈 결정적 사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도농복합지역 학업중단 청소년을 심층면접 후 질적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복합지역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에서 그들을 둘러싼 생태체계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하는 결정적인 사건은 미시체계특히 학교환경과 또래환경에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와의 갈등, 학교의 엄격한 징계와 규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청소년복지연구 Vol. 17; no. 1; pp. 163 - 187
Main Authors 류진아, Jin A R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1.03.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청소년의 학업중단관련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학업중단으로 이끈 결정적 사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도농복합지역 학업중단 청소년을 심층면접 후 질적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복합지역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에서 그들을 둘러싼 생태체계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하는 결정적인 사건은 미시체계특히 학교환경과 또래환경에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와의 갈등, 학교의 엄격한 징계와 규범, 학교폭력 가해자 및 피해자, 방관자 경험이었다. 셋째, 중간체계요인은 학교-가정의 부적절하고 비효율적인 연계였다. 넷째, 학업중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사자인 청소년은 소외된 경향이 있으며, 유기체인 개인의 성격적, 심리적 취약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외체계요인은 지역사회 문화공간, 다양한 진로체험 및 대안교육기관의 부재 등 지역자원의 부족이었다. 또한 학업중단 과정에서 지역 내 전문기관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여섯째, 거시체계요인은 지역사회의 분위기가 집단적 폭력을 신고하지 않거나 청소년이 만성적이고 심각한 가정폭력에 어릴 때부터 노출되어 이를 호소해도 사회구성원들은 이를 가볍게 여기는 등 폭력에 대해여 무관심하고 방임적이며, 무기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exercise on the ecological affective variables and decisive incidents in processing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s in complex rural area. The subjects were 7 adolescents who were school drop. The data were collected purposed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 and analysed by the case study method based on ecological aspects. As the results, firs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belonged to microsystems such as school and peer environment. Second, the significant decisive incidents between microsystems in processing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s were strict disciplinary actions and stndards in school and bullying between peers. Third, the all ecological variables were the factors in explaining school dropouts in complex rural area interactively. Fourth, adolescents the interested parties were alienated through drop out process. Fifth, the intermediated variable was inefficient family-school interaction and external variables were lack of community resources. Sixth, the macro variables were neglective and indifferent atmosphere for violence in area. Therefore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program-developers and polocy-makers should integrate these findings into their intervention programs, policie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in processing school dropouts.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G704-002137.2015.17.1.002
ISSN:1229-4705
2466-2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