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 후 발생한 가역적인 방실전도차단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전 5-7일째 에는 PR 간격이 400-460 ms까지 연장되면서 간헐적인 방실 전도차단이 나타났다. 방실전도차단이 지속되어 시행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중 진행된 2도 방실전도 차단이 발생하였 으며 아트로핀 0.5 mg 정주 후에는 일시...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9; no. 1; pp. 74 - 7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31.07.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Abstract |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전 5-7일째 에는 PR 간격이 400-460 ms까지 연장되면서 간헐적인 방실 전도차단이 나타났다. 방실전도차단이 지속되어 시행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중 진행된 2도 방실전도 차단이 발생하였 으며 아트로핀 0.5 mg 정주 후에는 일시적인 완전 방실전도 차단이 유발되었다. 방실전도차단의 수준을 평가하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감전 7일째에 히스 속 전기도 검사를 시행하 였다. 히스 속 전기도 검사에서 히스 속 상방의 방실전도차단 (AH block)으로 진단되었고 HV 간격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 되어 방실전도차단이 자발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경과관찰하였다. 감전 4주 후 외래에서 시행한 심전도 검사 에서 PR 간격은 400 ms로 여전히 연장되어 있었으나 방실전 도차단의 발생빈도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감전 5개월 후 에는 PR 간격도 220 ms로 줄어들었으며, 24시간 보행심전도 검사에서도 방실전도차단이 나타나지 않아 추적관찰을 종료 하였다. 전기 감전에 대한 인체의 반응은 매우 다양하며 저자 들의 증례에서와 같이 감전 후 발생한 방실전도차단이 수개 월에 걸쳐 서서히 그러나 완전히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인 공심장박동기 거치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 신중을 기할 필요 가 있겠다.
Here, we report a case of electrical injury-induced reversible advance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AV) block. A 28-year-old male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palpitations 3 days after receiving an electrical injury from 220 volt alternating current.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ECG) showed sinus rhythm and first-degree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 ms. There was no structural heart disease or electrolyte imbalance. Follow up ECGs acquired 4-6 day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showed intermittent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460 ms. Exercise treadmill and atropine provocation tests performed 6 days after electrical injury induced advanced second-degree AV block. His bundle electrogram showed intermittent AH block in a Wenckebach pattern with a prolonged AH interval of 220-360 ms and a normal HV interval. Episodes of AV block decreased remarkably 4 week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and the prolonged PR interval returned to 220 ms after 5 months. (Korean J Med 2015;89:74-78) |
---|---|
AbstractList | 감전에 인한 심장의 손상은 전류의 종류, 전압, 전류에 노출된 시간, 감전 당시 신체의 저항에 따라 손상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저전압에서의 심장성 급사의 원인은 심실세동으로 고전압에서는 광범위한 심근 손상에 의한 무수축이 심장성 급사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2]. 반면 감전에 의한 방실결절의 손상은 무증상의 1도 방실전도차단부터 영구형 인공심장박동기 거치술을 필요로 하는 고도 방실전도차단까지 다양한 형태의 전도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저자들은 교류전기 감전이후 발생한 가역적인 진행된 2도 방실전도차단(advanced second degree atrioventricular block)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re, we report a case of electrical injury-induced reversible advance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AV) block. A 28-year-old male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palpitations 3 days after receiving an electrical injury from 220 volt alternating current.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ECG) showed sinus rhythm and first-degree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 ms. There was no structural heart disease or electrolyte imbalance. Follow up ECGs acquired 4-6 day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showed intermittent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460 ms. Exercise treadmill and atropine provocation tests performed 6 days after electrical injury induced advanced second-degree AV block. His bundle electrogram showed intermittent AH block in a Wenckebach pattern with a prolonged AH interval of 220-360 ms and a normal HV interval. Episodes of AV block decreased remarkably 4 week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and the prolonged PR interval returned to 220 ms after 5 months. KCI Citation Count: 1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전 5-7일째 에는 PR 간격이 400-460 ms까지 연장되면서 간헐적인 방실 전도차단이 나타났다. 방실전도차단이 지속되어 시행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중 진행된 2도 방실전도 차단이 발생하였 으며 아트로핀 0.5 mg 정주 후에는 일시적인 완전 방실전도 차단이 유발되었다. 방실전도차단의 수준을 평가하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감전 7일째에 히스 속 전기도 검사를 시행하 였다. 히스 속 전기도 검사에서 히스 속 상방의 방실전도차단 (AH block)으로 진단되었고 HV 간격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 되어 방실전도차단이 자발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경과관찰하였다. 감전 4주 후 외래에서 시행한 심전도 검사 에서 PR 간격은 400 ms로 여전히 연장되어 있었으나 방실전 도차단의 발생빈도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감전 5개월 후 에는 PR 간격도 220 ms로 줄어들었으며, 24시간 보행심전도 검사에서도 방실전도차단이 나타나지 않아 추적관찰을 종료 하였다. 전기 감전에 대한 인체의 반응은 매우 다양하며 저자 들의 증례에서와 같이 감전 후 발생한 방실전도차단이 수개 월에 걸쳐 서서히 그러나 완전히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인 공심장박동기 거치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 신중을 기할 필요 가 있겠다. Here, we report a case of electrical injury-induced reversible advance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AV) block. A 28-year-old male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palpitations 3 days after receiving an electrical injury from 220 volt alternating current.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ECG) showed sinus rhythm and first-degree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 ms. There was no structural heart disease or electrolyte imbalance. Follow up ECGs acquired 4-6 day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showed intermittent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460 ms. Exercise treadmill and atropine provocation tests performed 6 days after electrical injury induced advanced second-degree AV block. His bundle electrogram showed intermittent AH block in a Wenckebach pattern with a prolonged AH interval of 220-360 ms and a normal HV interval. Episodes of AV block decreased remarkably 4 week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and the prolonged PR interval returned to 220 ms after 5 months. (Korean J Med 2015;89:74-78) |
Author | 이지영 이슬 Hyo Jin Jung Hyo In Rhyou Ji Young Lee 정효진 류호인 최원종 Seul Lee 박종성 Jong Sung Park Won Joung Choi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지영 – sequence: 2 fullname: Ji Young Lee – sequence: 3 fullname: 류호인 – sequence: 4 fullname: Hyo In Rhyou – sequence: 5 fullname: 최원종 – sequence: 6 fullname: Won Joung Choi – sequence: 7 fullname: 정효진 – sequence: 8 fullname: Hyo Jin Jung – sequence: 9 fullname: 이슬 – sequence: 10 fullname: Seul Lee – sequence: 11 fullname: 박종성 – sequence: 12 fullname: Jong Sung Park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54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j9Lw0Achg-pYK3dBZeOLol397tL7sZS_FMoCJL9uDQXibGJJJObYrcOdhEHW-jgUAcho5-puX4Hg3V64OXh4T1ErSzPDELHBLsgMTtL7yYuxYS7QrrE9dkealMqpIN9T7ZQm_ggHAkeO0DdskxCDJhIxqjXRmxTze1q2tt-THt1tbAvy-3borepnuz7t1092-VPM3_Z2Wcj1a9TW63r2foI7cf6vjTdf3ZQcHEeDK6c0fXlcNAfOSkH5ghtqKai-cBwZEIeSswplh4XxnAiNfVYRLTRMQbgdBwxGfI45qEvpAbOKHTQ6S6bFbFKx4nKdfLH21ylherfBEPlYyEka9STnZomZakeimSii0cFAJQ09V8Q2GKv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3904/kjm.2015.89.1.74 |
DatabaseName |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감전 후 발생한 가역적인 방실전도차단 Reversible Atrioventricular Block after Electrical Injury |
EISSN | 2289-0769 |
EndPage | 7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708894 3332103 |
GroupedDBID | 5-W 8JR 8XY ALMA_UNASSIGNED_HOLDINGS EF. HZB Q5X 9ZL ACYCR |
ID | FETCH-LOGICAL-k534-8ae2a2807640deb5b905209658ee519a264d1aeaf03352cd49b5ff5b789a35423 |
ISSN | 1738-9364 |
IngestDate | Tue Nov 21 21:09:25 EST 2023 Tue May 13 02:11:29 EDT 2025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1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34-8ae2a2807640deb5b905209658ee519a264d1aeaf03352cd49b5ff5b789a35423 |
Not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5.89.1.006 |
PageCount | 5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708894 kiss_primary_3332103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507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5-07-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7 year: 2015 text: 201507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대한내과학회지 (Korean J Med) |
PublicationYear | 2015 |
Publisher | 대한내과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내과학회 |
SSID | ssib030194426 ssib044750981 ssj0000314786 ssib051086639 |
Score | 1.9178342 |
Snippet |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감전에 인한 심장의 손상은 전류의 종류, 전압, 전류에 노출된 시간, 감전 당시 신체의 저항에 따라 손상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저전압에서의 심장성 급사의 원인은 심실세동으로 고전압에서는 광범위한 심근 손상에 의한 무수축이 심장성 급사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74 |
SubjectTerms | Atrioventricular block Electricity 감전 내과학 방실차단 |
Title | 감전 후 발생한 가역적인 방실전도차단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3210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5432 |
Volume | 89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대한내과학회지, 2015, 89(1), 659, pp.74-78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2xbtQw1GrLwoJABQEFdEh4qnLEiR3bY5K7qoBgOqRuUXJJEJx0Vx3XhQGBuK0DLIiBVurAUAakG_mmXvoPvOckd-EEUmGJrOfn52c_6_k9x36PkAdaxKnwVB-1n7S4p1wrtnNhxR5u1mnC89Tctnjm7T7nj_fE3tr6VuPW0sEkafff_PFdyf9IFWAgV3wl-w-SXRAFAJRBvvAFCcP3QjKmXZ8GeFOBdkPq21TxbdrtUB2UpcBUhlipXKo7pk4AZLtqqExDLanfqSkwA-nQQNUEfG0IBNTni26wSu2YQmhwlIEAjmpau7gGn4zG9WF_Zfiu_s6veyzJy5orRRVbogBpgTAcggLuFmw2qQSiGi7MQDUpDi1z9dQowD5MAVLxDddlj7x5-MFEfapaLVczttDwVU2ggTiGZZhIlwZhXaUr2ipsqHuJ6t4t46i3MwNzHLxEJssEMpVal7xhIJQph1a3HlfbHNbL4BWGN2CirXSbtet2zSjfK7vvb3G-B_2X0YtRNBhH4M08iiTeQePr5JIDPhCm53j6tlsrS1DMmvOl7YyBG229fEQsMIWWV4V8NWaJy7g0mU8Xoy5_2yPnD1f5BgsFHJjXYHENx3nD4updJVcqV6nll-v-GlkbjDYJP5t9Kk6mrfOv09Z8dlR8OD7_fNQ6m70rvvwoTt4Xxz8B_L04_AZI84_TYnY6Pzy9Tno73V64a1WZP6yBcLml4syJMUyTx-00S0SizW0tMJazDDyOGIz4lMVZnNv4YrCfcp2IPBeJVDp2BTgIN8jGcDTMbpKW5J72Up1zFiuuWV9JmTksY-jocMHdW2QTxxntl7FdItfFR20Avg_jNvL4q1xuXwBni1xeLts7ZGMyPsjughU7Se4Zaf4CIRp6Hw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90%EC%A0%84+%ED%9B%84+%EB%B0%9C%EC%83%9D%ED%95%9C+%EA%B0%80%EC%97%AD%EC%A0%81%EC%9D%B8+%EB%B0%A9%EC%8B%A4%EC%A0%84%EB%8F%84%EC%B0%A8%EB%8B%A8&rft.jtitle=The+Korean+journal+of+medicine&rft.au=%EC%9D%B4%EC%A7%80%EC%98%81&rft.au=%EB%A5%98%ED%98%B8%EC%9D%B8&rft.au=%EC%B5%9C%EC%9B%90%EC%A2%85&rft.au=%EC%A0%95%ED%9A%A8%EC%A7%84&rft.date=2015-07-31&rft.pub=%EB%8C%80%ED%95%9C%EB%82%B4%EA%B3%BC%ED%95%99%ED%9A%8C&rft.issn=1738-9364&rft.eissn=2289-0769&rft.spage=74&rft.epage=78&rft_id=info:doi/10.3904%2Fkjm.2015.89.1.7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08894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9364&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9364&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936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