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 후 발생한 가역적인 방실전도차단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전 5-7일째 에는 PR 간격이 400-460 ms까지 연장되면서 간헐적인 방실 전도차단이 나타났다. 방실전도차단이 지속되어 시행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중 진행된 2도 방실전도 차단이 발생하였 으며 아트로핀 0.5 mg 정주 후에는 일시...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9; no. 1; pp. 74 - 7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31.07.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28세 남자 환자가 220볼트의 교류전류에 감전 후 발생한 두 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초기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400 ms로 연장되어 있었으나 QRS파의 지속시간 및 형태, 교정된 QT 간격은 정상이었다. 심초음파 및 생화학 검사에서 구조적 심 장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전 5-7일째 에는 PR 간격이 400-460 ms까지 연장되면서 간헐적인 방실 전도차단이 나타났다. 방실전도차단이 지속되어 시행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중 진행된 2도 방실전도 차단이 발생하였 으며 아트로핀 0.5 mg 정주 후에는 일시적인 완전 방실전도 차단이 유발되었다. 방실전도차단의 수준을 평가하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감전 7일째에 히스 속 전기도 검사를 시행하 였다. 히스 속 전기도 검사에서 히스 속 상방의 방실전도차단 (AH block)으로 진단되었고 HV 간격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 되어 방실전도차단이 자발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경과관찰하였다. 감전 4주 후 외래에서 시행한 심전도 검사 에서 PR 간격은 400 ms로 여전히 연장되어 있었으나 방실전 도차단의 발생빈도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감전 5개월 후 에는 PR 간격도 220 ms로 줄어들었으며, 24시간 보행심전도 검사에서도 방실전도차단이 나타나지 않아 추적관찰을 종료 하였다. 전기 감전에 대한 인체의 반응은 매우 다양하며 저자 들의 증례에서와 같이 감전 후 발생한 방실전도차단이 수개 월에 걸쳐 서서히 그러나 완전히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인 공심장박동기 거치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 신중을 기할 필요 가 있겠다.
Here, we report a case of electrical injury-induced reversible advance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AV) block. A 28-year-old male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palpitations 3 days after receiving an electrical injury from 220 volt alternating current.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ECG) showed sinus rhythm and first-degree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 ms. There was no structural heart disease or electrolyte imbalance. Follow up ECGs acquired 4-6 day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showed intermittent AV block with a prolonged PR interval of 400-460 ms. Exercise treadmill and atropine provocation tests performed 6 days after electrical injury induced advanced second-degree AV block. His bundle electrogram showed intermittent AH block in a Wenckebach pattern with a prolonged AH interval of 220-360 ms and a normal HV interval. Episodes of AV block decreased remarkably 4 weeks after the electrical injury, and the prolonged PR interval returned to 220 ms after 5 months. (Korean J Med 2015;89:74-78)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5.89.1.006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5.89.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