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의 결장운동에서 Neuropeptide Y의 작용기전
목적: Neuropepetide Y (NPY)는 다양한 생리작용이 있으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흰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운동에서 NPY의 작용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장간맥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NPY를14 pM, 70 pM, 140 pM과 28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으로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 별 약물 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변화로 표시하였다. 약물투여에 의한 억제 실험은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NPY 투...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5; no. 2; pp. 186 - 193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08.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Neuropepetide Y (NPY)는 다양한 생리작용이 있으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흰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운동에서 NPY의 작용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장간맥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NPY를14 pM, 70 pM, 140 pM과 28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으로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 별 약물 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변화로 표시하였다. 약물투여에 의한 억제 실험은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NPY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atropine,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과 phentolamine 각각을 관류시킨 후 NPY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NPY(14 pM, 70 pM, 140 pM, 280 pM)를 투여할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28.5±28.2%, 48.4± 34.3%, 122.9±97.3%, 68.2±28.1%이었으며, 원위부 결장에서는 각각 44.9±25.9%, 103.8±72.0%, 237.1±131.0%, 93.0± 63.9%로 기저치에 비해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모두 수축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NPY의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수축 강도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원위부에서 근위부보다 수축반응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NPY(140 pM)에 의해 증가되는 결장운동은 atropine, TTX, propranolol전 처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 전 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NPY는 흰쥐 결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결장 평활근 수축 촉진 작용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한 콜린동작성 신경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동작성 신경의 영향 하에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ond/Aims: Neuropepetide Y (NP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veral gut functions, but the neuronal action of NPY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NPY on motility in the proximal and distal rat colon. Methods: Rat colon with an intact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isolated. After a basal period, NPY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4 pM, 70 pM, 140 pM, and 280 pM.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expressed as a percent change of motility indices over the basal level. After a pre-infusion of atropine (AT),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 and phentolamine, NPY was infused at a concentration of 140 pM, and pressures were monitored. Results: NPY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t concentrations of 14, 70, 140, and 280 pM in the proximal colon (28.5±28.2%, 48.4±34.3%, 122.9±97.3%, 68.2±28.1%, respectively) and in the distal colon (44.9±25.9%, 103.8±72.0%, 237.1±131.0%, 93.0±63.9%, respective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hancing effect of NPY (140 pM) on colonic motil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pretreatment with atropine, propranolol, and TTX. However, the effect of NPY was not inhibited by hexamethonium or phentolamine. Conclusion: NPY increases colonic motility. The enhancing effect of NPY on colonic motility may require cholinergic input via muscarinic receptors or adrenergic input via beta-receptors. (Korean J Med 75:186-193, 2008)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08.75.2.014 |
ISSN: | 1738-9364 2289-07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