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경기감독관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
이 연구는 한국 축구에서 경기감독관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경기감독관 10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들을 귀납적으로 범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원자료 총 368개가 도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경기장 안에서 경험하는 대인관련요인(121개, 32.9%), 심판관련요인(94개, 25.5%) 및 환경관련요인(88개, 23.9%) 그리고 경기장 밖에서 경험하는 시간관련요인(65개, 17.7%)의 4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스트레스...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3; no. 2; pp. 297 - 30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12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2.23.2.297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한국 축구에서 경기감독관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경기감독관 10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들을 귀납적으로 범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원자료 총 368개가 도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경기장 안에서 경험하는 대인관련요인(121개, 32.9%), 심판관련요인(94개, 25.5%) 및 환경관련요인(88개, 23.9%) 그리고 경기장 밖에서 경험하는 시간관련요인(65개, 17.7%)의 4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원자료가 총 190개 도출되었으며, 경기장 안에서 대처하는 전략은 정서 중심적 대처(85개, 44.7%)와 적극적 문제해결(66개, 34.7%)로 그리고 경기장 밖에서 대처하는 생존관리 대처(39개, 20.5%)의 3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결국 경기감독관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대인관련 직무스트레스 요인, 대처전략은 정서 중심적 대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경기감독관들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인 상담기술 훈련이나 대처(coping)기술 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or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job-stress and coping strategies for the job-stress of Match commissioners, performing their duties in Korean football matches. In order to do this, an open questionnaire was made specifically targeting 103 Match commissioners, officially registered in the Korean Football Association. A total of 368 raw data of the job-stress reasons was derived inductively, and it was categorized into four main areas. Three areas are within the field of play, such as interpersonal-related (32.9%, 121), referee-related (25.5%, 94), and environment-related (23.9%, 88); also, the other area is time-related (17.7%, 65) factor outside the field. In order to cope with stress, there were 190 methods of raw data had been derived, and to handle the stress on the field, there were two methods such as emotion- focused coping (44.7%, 85), active problem solvijbng (34.7%, 66), and one method to cope with the stress out on the field, such as survival symptoms management response (20.5%, 39). As a result, the biggest reason for job-stress had been interpersonal-related (32.9%, 121) and the highest percentage for job-stress method had emotion-focused coping (44.7%, 85). Thus, the interpersonal-skill training and coping-skill training are strongly recommended to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Match commissioners.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www.sports.re.kr/info/sciService2.jsp?bbsType=view&idx=3086&maga_type=2 G704-000739.2012.23.2.014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2.23.2.2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