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를 통한 이주민의 문화적응 및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

국제화 시대를 맞아 오늘날 우리나라도 서구사회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대책 및 정책개발을 위한 국가적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학문적 차원의 노력도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스포츠를 통해 이주민의 문화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분야의 연구 및 정책개발은 극히 제한되어있다. 따라서 스포츠가 지닌 고유한 특성인 사회통합 및 융합의 기능과 직, 간접적인 스포츠 참여가 이주민의 새로운 사회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고려할 때(C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23; no. 1; pp. 105 - 120
Main Authors 하재필, Jae Pil Ha, 박성희, Seong He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12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2.23.1.1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국제화 시대를 맞아 오늘날 우리나라도 서구사회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대책 및 정책개발을 위한 국가적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학문적 차원의 노력도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스포츠를 통해 이주민의 문화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분야의 연구 및 정책개발은 극히 제한되어있다. 따라서 스포츠가 지닌 고유한 특성인 사회통합 및 융합의 기능과 직, 간접적인 스포츠 참여가 이주민의 새로운 사회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고려할 때(Coakley, 2009), 스포츠 활동과 이주민의 문화적응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주민의 문화적응 현상에 대한 핵심개념인 문화적응(acculturation)과 민족적 정체성(ethnic identity), 그리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근거 및 개념들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심리학, 사회학, 체육학 등에서 행하여진 문화적응과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이론들을 소개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스포츠 환경 내에서 관련 연구들의 분석 및 적용을 통해 향후 후속 연구방향을 도출하고, 더불어 국내 이주민을 위한 스포츠 관련 정책개발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이차적 목적이 있다. 이주민의 문화적응현상과 민족적 정체성을 스포츠를 통해 이해하려는 노력은 다문화 사회를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동시에 발생가능한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며, 더불어 스포츠 산업종사자들이 이주민이라는 새로운 틈새시장을 개발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While many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round the world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society in the context of global society, little efforts was given to policy development for and research on newcomers in a host society, In particular, the efforts for improving the cultural adaptation of newcomers to a host society through sport is very limited. Considering that the integrated function of sport and sport is likely to positively influence their adaptation to a new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sport need to be conducted. To do that, there is a need for thorough and in-depth investigation on focal concepts and theories relative to newcomers` cultural adaptation, such as acculturation and ethnic identity.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studies, concepts, and theories regarding acculturation and ethnic identity.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various concepts theories can be applied to a sport context in order to provid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on as well as policy for newcomers` cultural adaptation. The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acculturation and ethnic identity of newcomers through sport would be critical to effectively prepare for multi-cultural society. In addition, it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port marketers in terms of developing a new nitche market.
Bibliography:G704-000739.2012.23.1.017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2.2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