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조직의 구조적 특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 논문은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적용해서 조직의 구조적 특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그동안 직무만족을 포함한 개인의 태도나 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일반화된 접근방법은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분석의 차원이 다른 경우 이것을 모델에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조직에서 개인의 태도나 행태는 개인 수준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보다 상위 차원의 부서나 조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행정연구 Vol. 18; no. 4; pp. 31 - 58
Main Authors 유민봉, 류은영, 심형인, 김영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행정연구원 30.01.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97X
2733-9548
DOI10.22897/kipajn.2010.18.4.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적용해서 조직의 구조적 특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그동안 직무만족을 포함한 개인의 태도나 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일반화된 접근방법은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분석의 차원이 다른 경우 이것을 모델에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조직에서 개인의 태도나 행태는 개인 수준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보다 상위 차원의 부서나 조직 차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런 사례 중의 하나가 조직차원의 구조적 특성이 개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라 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HLM이 기존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조직의 구조적 특성 중에서 공식성만이 직무만족에 양(+)의 영향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집단차원의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결과와도 동일하다. 다만 개인차원의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에서는 집단성과 복잡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와 HLM의 결과와 달랐다. 어떤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변수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속성과 이론 모형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수준을 달리하는 위계자료인 경우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보다 HLM이 더 타당한 방법임을 보여준 연구라 할 수 있다.
Bibliography: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G704-000428.2010.18.4.006
ISSN:1226-797X
2733-9548
DOI:10.22897/kipajn.2010.18.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