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의 놀이 현황 및 지원 기대 분석
본 연구는 자녀의 발달과정에서 놀이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 지원하는 어머니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상담프로그램 개발 작업의 일환으로, 아동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기본인식조사에 이어, 놀이시간과 장소 및 놀이모습, 놀이 저해요인 및 지원요소에 대한 어머니 인식과 기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 놀이의 지원 방향과 방법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대전광역시 거주 어머니 48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어머니가 기대하는 자녀 놀이시간은 실제 놀이시간 보다 적었고, 바라는 놀이장소와 실제장소는 둘 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5; no. 2; pp. 283 - 30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0.05.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자녀의 발달과정에서 놀이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 지원하는 어머니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상담프로그램 개발 작업의 일환으로, 아동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기본인식조사에 이어, 놀이시간과 장소 및 놀이모습, 놀이 저해요인 및 지원요소에 대한 어머니 인식과 기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 놀이의 지원 방향과 방법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대전광역시 거주 어머니 48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어머니가 기대하는 자녀 놀이시간은 실제 놀이시간 보다 적었고, 바라는 놀이장소와 실제장소는 둘 다 ``인근운동장 및 공원``이 가장 많았다. 기대하는 놀이종류에서는 신체놀이가 최다, 인지놀이가 최소로, 실제 놀이에서는 인지놀이가 최다, 신체놀이가 최소로 나왔다. 기대하는 놀이형태로는 혼자놀이가 함께놀이의 2배, 동적놀이가 정적놀이의 1.4배였으나, 실제에서는 혼자놀이가 4.8배, 정적놀이가 6.5배로 나왔다. 놀이 방해요인은 시간부족, 공간부족, 정보부족의 순으로, 부모가 함께 놀아주기 어려운 이유는 시간부족, 놀이지식·정보부족, 공간부족의 순으로 나왔다. 형제자매 또는 부모가 함께 해줄 수 있는 놀이의 제공, 놀이관련 정보제공, 놀이프로그램 개발·지원 등이 지원적 요소들로 꼽혔다. 안전한 놀이환경, 다양한 놀이프로그램, 사회성 향상 및 창의·도전역량 개발 등에 초점을 둔 놀이활동의 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maternal perceptions of children`s actual and ideal play in terms of time, place, kinds and forms of play, factors hindering play, and maternal expectations regarding support. Questionnaires from 484 mothers in Daejeo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ideal play time was less than the actual time. The most favored place of play was a ``nearby playground or park``. In terms of the mother-perceived types and forms of pla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ideal and the actual: Physical play comprised the largest part of ideal play, whereas cognitive play comprised that of the actual play itself. Solitary play and sedate play appeared strikingly more than accompanied play and dynamic play appeared in the actual play. In terms of factors hindering child`s play and parent`s play facilitation, lack of time, space, and knowledge/information were the most significant. The mother playing with her child required the most information, and play activities/programs were the next areas requiring the most information. Sibling play activities were the most expected of all activities. The most urgent forms of support included the provision of a safe play environment and varied play programs. Play activities/programs were expected to focus on a child`s social skills the most, with creativity and creating a sense of challenge being next in line.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2.15.2.002 |
ISSN: | 1229-0858 2384-0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