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부딘 내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병용치료

목적: 라미부딘에 유전형 내성을 보이는 HBe 항원 양성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96주간의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병용치료와 아데포비어 단독치료의 임상적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라미부딘에 유전형 내성을 보이는 134명의 HBe 항원 양성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조사하였다. 아데포비어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2주 간격으로 간기능 검사, 혈청 HBV DNA 수치, HBe항원 및 항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아데포비어 투여후 생화학적 돌파현상 또는 바이러스 돌파현상을 보이는 환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7; no. 6; pp. 716 - 722
Main Authors 이현석, Hyun Seok Lee, 박수영, Soo Young Park, 최소영, So Young Choi, 정민규, Min Kyu Jung, 전성우, Seong Woo Jeon, 조창민, Chang Min Cho, 권영오, Young Oh Kweon, 김성국, Sung Kook Kim, 최용환, Yong Hwan Choi, 탁원영, Won Young Ta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1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라미부딘에 유전형 내성을 보이는 HBe 항원 양성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96주간의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병용치료와 아데포비어 단독치료의 임상적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라미부딘에 유전형 내성을 보이는 134명의 HBe 항원 양성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조사하였다. 아데포비어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2주 간격으로 간기능 검사, 혈청 HBV DNA 수치, HBe항원 및 항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아데포비어 투여후 생화학적 돌파현상 또는 바이러스 돌파현상을 보이는 환자에 대해 아데포비어에 대한 유전형 내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명의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병용치료 환자와 100명의 아데포비어 단독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아데포비어 치료 96주 후 혈청 ALT의 정상화는 병용치료군에서 82.4%, 단독치료군에서 69.0%에서 나타났다(p=0.132). 혈청 HBV DNA의 음성화는 병용치료군에서 50.0%, 단독치료군에서 37.0%에서 나타났다(p=0.219). HBe 항원 혈청 소실률은 병용치료군에서 23.5%, 단독치료군에서 20.0%로 나타났다(p=0.662). 병용치료군(5.9%)에서 단독치료군(22.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생화학적 돌파현상(p=0.034) 및 생화학적 돌파현상의 누적 발생률(p=0.043)을 보였다. 아데포비어에 대한 유전형 내성은 병용치료군에서는 1명(2.9%), 단독치료군에서는 11명(11.0%)에서 관찰되었다(p=0.155). 돌연변이의 유형은 병용치료군에서 rtA181V가 1명, 단독치료군에서 rtA181V가 10명, rtN236T가 1명이었다. 결론: 라미부딘 내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의 병용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혈청 ALT 정상화, 혈청 HBV DNA 음성화, HBe항원 소실 환자의 비율은 높았고 아데포비어에 대한 유전형 내성의 발생은 낮았다. 단독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화학적 돌파현상 및 생화학적 돌파현상의 누적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병용치료가 아데포비어 단독치료에 비해 라미부딘 내성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더 나은 임상적 효능을 보였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assessed the clinical efficacy of lamivudine-adefovir combination therapy and adefovir monotherapy for 96 weeks in patients who had hepatitis B e antigen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CHB) with genotypic resistance to lamivudine. Methods: We reviewed 134 patients who had HBeAg-positive CHB with genotypic resistance to lamivudine. We assessed liver function tests, hepatitis B virus (HBV) DNA, HBeAg, and antibody every 12 weeks after adefovir treatment. We searched for adefovir-related mutations in patients with biochemical or virologic breakthrough after adefovir treatment. Results: Data on 34 patients receiving combination therapy and 100 patients receiving monotherapy were analyzed. After 96 weeks, 82.4% of the combination therapy and 69.0% of the monotherapy patients had normalize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p=0.132). In addition, 50.0% and 37.0% achieved undetectable HBV DNA (p=0.210), respectively, and 23.5% and 20.0% lost HBeAg (p=0.662).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5.9%) showed significantly lower biochemical breakthrough than the monotherapy group (22.0%, p=0.034) and had a lower cumulative biochemical breakthrough rate (p=0.043). One patient (2.9%) receiving combination therapy and 11 patients (11.0%) receiving monotherapy developed genotypic resistance to adefovir (p=0.155). One rtA181V mutation was detected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nd ten rtA181V mutations and one rtN236T mutation were detected in the monotherapy group. Conclusions: Combination therapy had higher rates of ALT normalization, undetectable HBV DNA, and HBeAg loss and a lower rate of adefovir resistance. Monotherapy had significantly higher biochemical breakthrough and cumulative biochemical breakthrough rates than combination therapy. Therefore, combination therapy was clinically more effective than monotherapy. (Korean J Med 77:716-722, 2009)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09.77.6.013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