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치료놀이가 여성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에서는 집단치료놀이가 여성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독거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과 치료놀이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독거노인 대상 집단치료놀이는 주 1회씩 총 18회기로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지역사회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66세-89세) 이상의 저소득 여성독거노인 총30명이었다. 인지기능(MMSE-K)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3; no. 4; pp. 153 - 169
Main Authors 김윤경, Yoon Ky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집단치료놀이가 여성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독거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과 치료놀이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독거노인 대상 집단치료놀이는 주 1회씩 총 18회기로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지역사회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66세-89세) 이상의 저소득 여성독거노인 총30명이었다. 인지기능(MMSE-K)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분명한 인지기능장애에 해당하는 4명을 제외한 26명을 대상으로 무선으로 실험과 통제집단 각 13명씩 할당하여 실험집단에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였다. 집단치료놀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2.0 통계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점수 차이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의 사후 자아존중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전보다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t=2.364, p= 0.036). 이는 홀로 사는 외로움과 함께 생활고를 견디어 내야하는 저소득 여성독거노인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별한 적극적 개입 없이는 자아존중감이 점진적으로 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해석된다. 이에 반해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약간 못 미치기는 하나 사전보다 높아졌다는 충분한 근거가 보였다(t=-2.163, p=0.051). 즉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독거노인은 통제집단의 여성독거노인과는 달리 자아존중감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집단치료놀이는 여성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저하를 예방할 수 있거나 어느 정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으나, 여성독거노인 집단에 처음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p Theraplay on self-esteem of elderly women who lives alone. Group theraplay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the proceeding researches about the effects that self-esteem affects elderly women who lives alone and about the effects that theraplay affect self-esteem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that are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received Group Theraplay for a total of 18 sessions, with 1 session allotted per a week.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0 elderly women who were aged above 65 attending one Multipurpose Senior Center in Seoul. The 26 subjects excluding 4 people who had obvious disabilities in their cognitive func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and Group Theraplay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 group. The difference in scores of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using spss 12.0 statistics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score of self-esteem in the controlled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t= 2.364,p=0.036). This result supports the proceeding researches that people in old age experience a decline of their self-esteem due to the sensory and cognitive loss, the loss of family and friends, the loss of income and career, the loss of their health so that they are in danger. In contrast to this, the score of the self-esteem in the experiment group has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comparing to the score before the experiment even though it was a bit bel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2.163, p=0.051). In conclusion, Group Theraplay can prevent a decline of the self-esteem in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or improve their self-esteem to some degre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first application of Group Theraplay for the elderly group and analyze the effect of self-esteem.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0.13.4.001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