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토의 대화 구조의 교육적 의미 탐구

초록이 연구는 독서 토의 대화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제 독서 토의 대화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1) 독서 토의의 대화 구조 양상은 어떠한가, 2) 독서 토의 대화구조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5~6학년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한 독서 토의를 관찰하고 녹화하여, 학생 대화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 토의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의미를구성하는 방식으로는 “발산형 의미 구성”, “대립형 의미 구성”, “협력형의미 구성”, “이탈형 의미 구성”이 있다. 첫째, 발산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독서연구 Vol. 28; pp. 319 - 351
Main Authors 이지영, Ji Young Lee, 백혜선, Hye Sun Pai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독서학회 30.12.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607
2713-91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초록이 연구는 독서 토의 대화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제 독서 토의 대화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1) 독서 토의의 대화 구조 양상은 어떠한가, 2) 독서 토의 대화구조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5~6학년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한 독서 토의를 관찰하고 녹화하여, 학생 대화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 토의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의미를구성하는 방식으로는 “발산형 의미 구성”, “대립형 의미 구성”, “협력형의미 구성”, “이탈형 의미 구성”이 있다. 첫째, 발산형 의미 구성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생각을 산발적으로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주제에 대한다양성을 추구한다. 이 구조는 대화가 책임 할당 방식으로 운영될 때,다양한 해석을 제시할 때, 토의 분위기를 형성할 때 주로 나타났다. 둘째, 대립형 의미 구성은 토의 주제에 대해 대립되는 주장을 반복·심화·확장시키는 구조이다. 셋째, 협력형 의미 구성은 구성원이 함께 주제에대해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구조이다. 구성원은 특정 생각에 대해 기본적으로 동의하고, 서로 수용하는 위치에서 생각을 덧붙이고, 호응하고, 구체화하고, 명료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이탈형 의미 구성은 특정 구성원이 맥락과 관련 없는 대화를 지속적으로 할 때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 토의에서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대화의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지만, 독서 토의 현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실증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discourse in literature discussion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What patterns of discourse do these students construct?,2) what are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th and 6th graders who participated literature discussions. Data from videotapes and transcripts were analyzed inductively.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patterns of discourse: "divergent meaningconstruction","adversarial meaning-construction", "collaborative meaning-construction"and "deviatory meaning-construction". First, "divergent meaning-construction" involves sporadic discussion on a single topic. This pattern is observed when students assign responsibility to individual, having a divergent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create a discussion atmosphere. Second, the discourse pattern of "adversarial meaning construction" involves repetition of structures,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conflicting claims. Third, "collaborative meaning construction" is the process of adding,responding to, and concretizing ideas within groups of students. Finally, "deviatory meaning construction" is observed when a student constantly repeats himself or herself.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atterns of discourse as indicators for teachers in a literature discussion.
Bibliography:G704-001476.2012..28.009
ISSN:1598-9607
2713-9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