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 환자에서 CTP 점수와 MELD 점수에 따른 사망률 분석

목적: CTP 점수의 단점을 보완하여 간경변 환자에서 보다 객관적인 혈청 크레아티닌, 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INR-PT), 간질환의 원인 유무를 이용한 MELD 점수에 의한 3개월 사망률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여러 가지 임상적, 검사실 변수들 중 3개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포천 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여 간경변증으로 진단받은 18세 이상 3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간경변증의 원인 및 3개월 사망률, MELD 점수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Vol. 9; no. 2; pp. 98 - 106
Main Authors 정은미, Eun Mi Jeong, 황성규, Seong Gyu Hwang, 박홍훈, Hong Hoon Park, 박지한, Ji Han Park, 김형태, Hyung Tae Kim, 오성욱, Seong Wook Oh, 고광현, Kwang Hyun Kho, 홍성표, Sung Pyo Hong, 박필원, Phil Won Park, 임규성, Gyu Sung Rim, 김세현, Se Hyun 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간학회 01.06.200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728
2287-285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CTP 점수의 단점을 보완하여 간경변 환자에서 보다 객관적인 혈청 크레아티닌, 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INR-PT), 간질환의 원인 유무를 이용한 MELD 점수에 의한 3개월 사망률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여러 가지 임상적, 검사실 변수들 중 3개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포천 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여 간경변증으로 진단받은 18세 이상 3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간경변증의 원인 및 3개월 사망률, MELD 점수를 알아보았다. 결과: 간경변증의 원인으로는 B형 간염바이러스가 168예(44.5%)로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알코올로 145예(38.1%)였다. 사망은 126예(33.2%)였으며 그중 3개월 이내에 사망한 경우가 61예로 전체 사망의 경우(126예) 중 48.4%였으며 전체 환자(379예)의 16%였다. 혈청 빌리루빈, 복수, 간성 혼수가 3개월 사망률과 관련성이 있었으며(p<0.05), 3개월 사망률을 예견하는데 있어서 c-statistic은 간경변증의 원인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 0.71, 포함하였을 경우 0.73으로 두 경우 모두 0.7 이상으로 유용하였다. MELD 점수와 문맥압 항진 합병증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MELD 점수의 진단적 정확성을 크게 증가시키지는 못하였다. 결론: MELD 점수는 다양한 원인, 다양한 진행정도의 간질환 환자의 3개월 사망률에 대한 유용한 지표이자 예후 인자이며 CTP 점수의 많은 단점을 보완하여 3개월 사망률을 예측하였다. Background/Aims: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consists of serum bilirubin and creatinine levels,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for prothrombin time, and etiology of liver disease. The MELD score is a reliable measurement of mortality risk and is suitable for a disease severity index in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MELD as a disease severity index for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Methods: We investigated the 379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hospitalized between January 1995 and May 2001.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hospital records to verify the diagnosis of cirrhosis and to collect exact patient information about their demographic data, portal hypertensive complications and laboratory data. The ability to classify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ccording to their risk of death was examined using the concordance c-statistic. Results: The MELD score performed well in predicting death within 3 months with a c-statistic of 0.73 with etiology and 0.71 without etiology. The significant clinical, laboratory variables on 3 month survival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re serum bilirubin, ascites and hepatic encephalopathy. The addition of portal hypertensive complications to the MELD score did not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LD score. Conclusions: The MELD score is a useful disease severity index for the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and provides reliable measurement of short term survival over a wide range of liver disease severity and diverse etiology.(Korean J Hepatol 2003;9:98-106)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G704-001530.2003.9.2003.013
ISSN:2287-2728
2287-2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