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MMPI-2 프로파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살 사고와 관련되는 MMPI-2의 임상 척도 프로파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북 지역의 5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589명이 실시한 BSS와 MMPI-2 자료를 분석하였다. BSS와 MMPI-2 임상 척도에 대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3계층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계층은 자살 사고의 수준에 따라``낮은 집단``,``평균 집단``, ``높은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각 계층의 MMPI-2 임상 척도 프로파일을 살펴본 결과, 자살 사고가 높은 남학생 집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간이해 Vol. 33; no. 2; pp. 53 - 69
Main Authors 이주영, Joo Young Lee, 문경주, Kyung Joo Moon, 허자영, Ja Young H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0.12.2012
학생생활상담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살 사고와 관련되는 MMPI-2의 임상 척도 프로파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북 지역의 5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589명이 실시한 BSS와 MMPI-2 자료를 분석하였다. BSS와 MMPI-2 임상 척도에 대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3계층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계층은 자살 사고의 수준에 따라``낮은 집단``,``평균 집단``, ``높은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각 계층의 MMPI-2 임상 척도 프로파일을 살펴본 결과, 자살 사고가 높은 남학생 집단에서는 2번(D), 7번(Pt), 0번(Si) 척도가 65T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자살 사고가 높은 여학생 집단에서는 2번(D), 6번(Pa), 7번(Pt), 8번(Sc) 척도가 65T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살 사고와 관련되는 MMPI-2 임상 척도 프로파일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MMPI-2 임상 척도 프로파일의 성별에 따른 차이와 연구 결과의 임상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MMPI-2 clinical scale profile with a sample of 589 college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s BSS and MMPI-2 scores. The result of LPA indicated that a three-class model was adequate. Each class was named ``low``, ``medium``, and ``high``,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In the class ``high``, scores on the 2(D), 7(Pt), and 0(Si) scales of the MMPI-2 were above 65T among male. Among female, 2(D), 6(Pa), 7(Pt), 8(Sc) were scored above 65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describing the MMPI-2 clinical scale profile of those with relatively high suicidal ideation.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Bibliography: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G704-SER000001572.2012.33.2.010
ISSN:2005-0860
2671-5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