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 탐색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12년까지 한부모와 관련된 119편의 연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주제별 특징으로서 한부모가정, 한부모, 자녀, 한부모로서의 적응, 지원에 대한 요구, 거시적체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시기별 특징으로서 2011년과 2012년에 한부모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한부모를 명명으로 하고 있는 연구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7; no. 3; pp. 241 - 260
Main Authors 조선화, Seon Hwa C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08.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12년까지 한부모와 관련된 119편의 연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주제별 특징으로서 한부모가정, 한부모, 자녀, 한부모로서의 적응, 지원에 대한 요구, 거시적체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시기별 특징으로서 2011년과 2012년에 한부모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한부모를 명명으로 하고 있는 연구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 및 프로그램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부모 가정의 부모를 위해서는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부모상담이 필요하고, 자녀를 위해서는 연령에 따른 개인상담 및 놀이치료를 통해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한부모로 생활하는 가정의 부모와 자녀가 심리적 안정과 치유가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rectivity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towards single-parent families. 119 papers published from 1995 to 2012 on single-parent famil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ngle-parent families, single-parents, children, the adaptation of single-parent children, request for support, and macroscopic system. Second, certain time specific features revealed that the research for the single-parents was activated between 2011 and 2012. Third, single-parents were the main object of the research. Four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gram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ctively used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ain methodology. Fifth, in-depth and continuous counseling was necessary for parent of single-parent families. Moreover, individual counseling according to age and play therapy were helpful for the children concerned. These methods helped parents and children to recov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4.17.3.006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