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 효과를 치료전과 6개월 후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놀이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놀이치료에 3회이상의 치료를 마친 6세 이상의 아동과 부모 상담에 참여한 부모 151쌍, 그리고 치료자 51명, 6개월 후 부모 103명, 치료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모들에게 주호소 문제의 감소정도와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정도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아동 문제행동의 감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동문제 행동 척도(CBCL)를 사용하였다. 자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1; no. 3; pp. 33 - 41
Main Authors 최명선, Myung Seon Choi, 강지희, Ji Hee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08.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 효과를 치료전과 6개월 후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놀이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놀이치료에 3회이상의 치료를 마친 6세 이상의 아동과 부모 상담에 참여한 부모 151쌍, 그리고 치료자 51명, 6개월 후 부모 103명, 치료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모들에게 주호소 문제의 감소정도와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정도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아동 문제행동의 감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동문제 행동 척도(CBCL)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 아동의 행동문제에 따른 치료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 전과 치료 후를 비교하여 본 결과 어머니 보고를 통한 주호소문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행동문제에 대한 치료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본 결과 치료초기의 행동문제에 비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졌다. 특히 내재화 문제, 외현화문제, 우울/불안, 주의집중문제, 정서불안장애, 위축의 문제에 놀이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놀이치료를 통한 어머니가 느끼는 주호소 문제의 감소와 아동의 행동문제의 감소로 인해 놀이치료가 아동의 행동문제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play therapy through group play therapy were briskly conducted while those through individual case studies are ra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lay therapy through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41 paris of children who were older than 6 years and treated with at least 3 sessions of play therapy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parents education, 51 therapists. After 6 months later, 101 parents and 51 therapists took part in the survey.For the effect of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port the level of reduction on children's main problems and behavior problems treated in parents counseling. First, the level of reduction on children's main problem from mother's report was investigated. Among responses, 87% of mothers reported the problems were reduced while 13% of mothers reported they felt no change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as also investigated. Symptoms were reduced in every domains of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It proved that play therapy had an effect on shrinking,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eness, concentration problem, aggression, emotional instability, internalized problem, externalized problem, and overall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08.11.3.007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