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당뇨병성인에서 LDL 입자크기와 내중막 두께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
연구배경: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진 저밀도 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입자크기를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측정하고 대상자들의 임상 및 생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LDL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내고, 인슐린저항성이 LDL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 (intima-media thickness, IMT)에 LDL 입자크기가 독립적 예측인자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특별한 질환을 진단 받은 기왕력...
Saved in:
Published in |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Vol. 29; no. 4; pp. 333 - 343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당뇨병학회
30.07.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6079 2233-6087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진 저밀도 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입자크기를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 측정하고 대상자들의 임상 및 생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LDL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내고, 인슐린저항성이 LDL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 (intima-media thickness, IMT)에 LDL 입자크기가 독립적 예측인자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특별한 질환을 진단 받은 기왕력이 없고 혈당 및 지질 대사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복용한 기왕력이 없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성인 136명 (32세~70세의 남성 47명, 여성 89명)을 대상 으로 임상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평균 LDL 입자크기와 인슐린저항성을 측정하였다. 평균 LDL 입자크기는 polyacrylamide tube gel 전기영동을 통해 측정하였고, 인슐린저항성은 단시간 인슐린 내성 검사를 통해 kitt값을 구해 측정하였으며, 경동맥 내중막 두께 (intima-medial thickness, IMT)로 무증상 죽상경화증을 평가하였다.결과: kitt는 LDL 입자크기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r = 0.233, P < 0.01), 다중 다단계 회귀분석 결과 LDL 입자 크기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예측인자는 혈청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농도, 혈청 고밀도 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농도, 연령이었다 (각각의 = -0.403, P = < 0.001; = 0.309, P = 0.003; = -0.219, P = 0.016). IMT는 연령,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각의 r = 0.490, P < 0.001; r = -0.251, P < 0.01; r = 0.211, P < 0.05; r = 0.298, P < 0.01; r = 0.263, P < 0.01). IMT와 LDL 입자크기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r = -0.172, P = 0.075).결론: 한국인 정상 성인에서LDL 입자크기의 유의한 예측인자는 TG 및 HDL콜레스테롤, 연령이었고 인슐린저항성은 LDL 입자크기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볼 수 없었다. 또한 한국인 정상성인에서 작고 조밀한 LDL이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예측인자라고 판단할 수 없었다.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edictor of the low density lipoprotein (LDL) particle siz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LDL particle size to the levels of insulin resistance and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n healthy Koreans.Methods: The subjects were 47 and 89 clinically healthy males and females, aged between 32 and 70 years, without medications that could potentially alter glucose and lipid metabolisms. The mean LDL particle size was determined by polyacrylamide tube gel electrophoresis (Lipoprint(r) LDL, Quantimetrix), the insulin resistance using a short insulin tolerance test kit, and the subclinical atherosclerosis from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Results: The LDL particle siz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sulin resistance using a simple Pearson's correlation (r=0.233, P < 0.01), but the independent predictors of the LDL particle size, as determined by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serum triglyceride (TG),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level and age ( = -0.403, P = < 0.001; = 0.309, P = 0.003; = -0.219, P = 0.016, respec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an increasing IMT and the traditional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age,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0.490, P < 0.001; r=-0.251, P < 0.01; r=0.211, P < 0.05; r=0.298, P < 0.01; r=0.263, P < 0.01,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 increasing IMT and the LDL particle size (r=-0.172, P = 0.075).Conclusion: The best predictors for the LDL particle size were the serum TG level, HDL cholesterol level and age. Insulin resistance was not found to be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he LDL particle size. Small dense LDL was not found to be a predictor of the IMT in healthy Korean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G704-SER000002700.2005.29.4.011 |
ISSN: | 2233-6079 2233-60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