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육 학술 연구 문헌 분석

본 논문에서는 통일교육 학술 논문들에 나타난 연구의 특징들을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다. 이는 통일교육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연구 분야를 보여준다. 가장 특징적인 점은 대다수의 통일교육연구자들이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한 것인데, 이는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서 통일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한 것으로 의의를 가진다. 그렇지만,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통일교육의 방향이 추상적이므로 심층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같은 통일교육의 형식적 교육과정에 대한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84) Vol. 84; pp. 275 - 308
Main Authors 박성춘, Sung Choo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3.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통일교육 학술 논문들에 나타난 연구의 특징들을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다. 이는 통일교육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연구 분야를 보여준다. 가장 특징적인 점은 대다수의 통일교육연구자들이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한 것인데, 이는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서 통일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한 것으로 의의를 가진다. 그렇지만,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통일교육의 방향이 추상적이므로 심층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같은 통일교육의 형식적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많았는데,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인 통일교육의 밑거름을 제공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통일교육연구자들이 통일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교수방법적 지혜를 가지고 있는 교사들과의 공동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uses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in finding its characteristics. Not only does it reveal the past and present of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but it also provides areas of further research. The primary finding is the fact that most researchers propose new directions for unific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y try to establish research agenda while there are unpredictable changes on the matter of unification issu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fact that the directions suggested are abstract or unclear also shows the need of substantial and practical research. In addition, it is notable that many researchers focus on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It illustrates the need of researching implicit and null curriculum, which will enable teachers to make lessons on unification education successful. In order to provide teachers with practical supports researchers need to implemen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y and cooperate with teachers who have pedagogical wisdom from the field.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2.1.84.012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84.201203.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