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결절에서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유용성

연구배경: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절이 크기가 작고 불분명하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렵거나, 복합 낭종인 경우에는 적절한 표본 획득의 어려움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에서 얻어진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의 정확성을 비교한 보고는 아직도 불충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Vol. 20; no. 2; pp. 154 - 159
Main Authors 이효진, Hyo Jin Lee, 나소영, So Young Rha, 권기현, Ki Hyun Kwon, 이준철, Jun Chul Lee, 김군순, Koon Soon Kim, 조영석, Young Suk Jo, 구본정, Bon Jeong Ku, 송민호, Min Ho Shong, 김영건, Young Kun Kim, 노흥규, Heung Kyu R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분비학회 30.04.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596X
2093-5978

Cover

Abstract 연구배경: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절이 크기가 작고 불분명하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렵거나, 복합 낭종인 경우에는 적절한 표본 획득의 어려움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에서 얻어진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의 정확성을 비교한 보고는 아직도 불충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와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의 표본 적절성과 정확성을 비교하여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갑상선결절로 충남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여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또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29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갑상선결절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299명의 환자 중 185명은 촉진에 의한 검사를 받았고 114명은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받았다. 대상 환자의 연령은 15세에서 74세로 다양하였고 성별분포는 여자가 263명, 남자가 36명으로 여자가 7.3:1의 비율로 더 많았다.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185명의 갑상선결절 환자들은 세포검사에서 양성이 142명(76.8%), 중간형이 11명(5. 9%), 악성이 8명(4.3%), 부적절한 검체가 24명(13.0%)이었고,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받은 114명의 경우 양성이 95명(83.3%), 중간형이 4명(3.5%), 악성이 9명(7.9%), 부적절한 검체가 6명(5.3%)이었다. 갑상선결절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총 299명 중 17명(5.7%, 여자 14명, 남자 3명)이 악성으로 진단되었고,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에서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보다 부적절한 검체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31).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185명 중 17명(양성 8명, 중간형 3명, 악성 6명)이 수술을 받았으며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에서는 114명 중 6명(양성 1명, 중간형 1명, 악성 4명)이 수술을 받았다.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군의 경우 세포검사결과 양성으로 진단된 8명 중 2명에서 수술 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위음성을 보였고, 중간형으로 나온 3명 중 1명은 수술 후 양성, 2명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었으며 악성으로 보고된 6명은 모두 수술 후에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었다.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군에서는 세포검사결과 양성으로 진단된 1명과 악성으로 보고된 4명이 수술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고 세포검사에서 중간형으로 진단된 1명은 수술 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군과 달리 위음성을 보인 환자가 없었다. 결론: 갑상선결절에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와 비교하여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적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결절의 크기가 작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려운 경우에 더욱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Fine needle aspiration(FNA) is an accurate and saf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One of the limitations of FNA is the variable rate of unsatisfactory specimens, especially in small sized, deep seated or complex cystic nodules. To overcome this problem, ultrasound-guided FNA(US-FNA) has been widely used. In this study, the adequacy of cytologic specimens by US-FNA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palpation-guided FNA(P-FNA).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were engaged in FNA due to thyroid nodul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4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US-FNA and P-FNA were performed in 114 and 185 patients, respectively.Results: Comparison of the adequacy of the two techniques in providing sufficient material for the cytologic diagnosis showed that specimens in 24(13.0%) and 6(5.3%) patients collected by P-FNA and US-FNA, respectively, were unsatisfactory(P=0.031). A total of 23 patients underwent thyroid surgery due to strong suspicion of malignancy at cytologic finding and/or on clinical judgement. Seventeen patients belonged to the P-FNA group and 6 patients to the US-FNA group. In the P-FNA group, a histologic diagnosis revealed two false-negative cytologic findings, but no false-negative findings were found in the US-FNA group.Conclusion: Compared with P-FNA, US-FNA may reduce the possibility of unsatisfactory cytologic specimens and the rate of false-negative diagnosis, and may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in investigating thyroid nodule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연구배경: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절이 크기가 작고 불분명하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렵거나, 복합 낭종인 경우에는 적절한 표본 획득의 어려움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에서 얻어진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의 정확성을 비교한 보고는 아직도 불충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와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의 표본 적절성과 정확성을 비교하여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갑상선결절로 충남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여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또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29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갑상선결절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299명의 환자 중 185명은 촉진에 의한 검사를 받았고 114명은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받았다. 대상 환자의 연령은 15세에서 74세로 다양하였고 성별분포는 여자가 263명, 남자가 36명으로 여자가 7.3:1의 비율로 더 많았다.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185명의 갑상선결절 환자들은 세포검사에서 양성이 142명(76.8%), 중간형이 11명(5. 9%), 악성이 8명(4.3%), 부적절한 검체가 24명(13.0%)이었고,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받은 114명의 경우 양성이 95명(83.3%), 중간형이 4명(3.5%), 악성이 9명(7.9%), 부적절한 검체가 6명(5.3%)이었다. 갑상선결절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총 299명 중 17명(5.7%, 여자 14명, 남자 3명)이 악성으로 진단되었고,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에서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보다 부적절한 검체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31).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185명 중 17명(양성 8명, 중간형 3명, 악성 6명)이 수술을 받았으며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를 시행받은 군에서는 114명 중 6명(양성 1명, 중간형 1명, 악성 4명)이 수술을 받았다.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군의 경우 세포검사결과 양성으로 진단된 8명 중 2명에서 수술 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위음성을 보였고, 중간형으로 나온 3명 중 1명은 수술 후 양성, 2명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었으며 악성으로 보고된 6명은 모두 수술 후에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었다.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 군에서는 세포검사결과 양성으로 진단된 1명과 악성으로 보고된 4명이 수술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고 세포검사에서 중간형으로 진단된 1명은 수술 후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 군과 달리 위음성을 보인 환자가 없었다. 결론: 갑상선결절에서 경부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는 촉진에 의한 세침흡인검사와 비교하여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적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결절의 크기가 작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려운 경우에 더욱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Fine needle aspiration(FNA) is an accurate and saf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One of the limitations of FNA is the variable rate of unsatisfactory specimens, especially in small sized, deep seated or complex cystic nodules. To overcome this problem, ultrasound-guided FNA(US-FNA) has been widely used. In this study, the adequacy of cytologic specimens by US-FNA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palpation-guided FNA(P-FNA).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were engaged in FNA due to thyroid nodul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4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US-FNA and P-FNA were performed in 114 and 185 patients, respectively.Results: Comparison of the adequacy of the two techniques in providing sufficient material for the cytologic diagnosis showed that specimens in 24(13.0%) and 6(5.3%) patients collected by P-FNA and US-FNA, respectively, were unsatisfactory(P=0.031). A total of 23 patients underwent thyroid surgery due to strong suspicion of malignancy at cytologic finding and/or on clinical judgement. Seventeen patients belonged to the P-FNA group and 6 patients to the US-FNA group. In the P-FNA group, a histologic diagnosis revealed two false-negative cytologic findings, but no false-negative findings were found in the US-FNA group.Conclusion: Compared with P-FNA, US-FNA may reduce the possibility of unsatisfactory cytologic specimens and the rate of false-negative diagnosis, and may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in investigating thyroid nodule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권기현
Heung Kyu Ro
나소영
조영석
Young Kun Kim
Hyo Jin Lee
Koon Soon Kim
구본정
Young Suk Jo
김군순
이준철
송민호
김영건
Ki Hyun Kwon
Min Ho Shong
이효진
So Young Rha
Bon Jeong Ku
노흥규
Jun Chul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효진
– sequence: 2
  fullname: Hyo Jin Lee
– sequence: 3
  fullname: 나소영
– sequence: 4
  fullname: So Young Rha
– sequence: 5
  fullname: 권기현
– sequence: 6
  fullname: Ki Hyun Kwon
– sequence: 7
  fullname: 이준철
– sequence: 8
  fullname: Jun Chul Lee
– sequence: 9
  fullname: 김군순
– sequence: 10
  fullname: Koon Soon Kim
– sequence: 11
  fullname: 조영석
– sequence: 12
  fullname: Young Suk Jo
– sequence: 13
  fullname: 구본정
– sequence: 14
  fullname: Bon Jeong Ku
– sequence: 15
  fullname: 송민호
– sequence: 16
  fullname: Min Ho Shong
– sequence: 17
  fullname: 김영건
– sequence: 18
  fullname: Young Kun Kim
– sequence: 19
  fullname: 노흥규
– sequence: 20
  fullname: Heung Kyu R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7161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r1Kw1AcxS9SwVr7BC4ZXQLJ_cjNHUuxWigIksHtktwkEqOJJJObHxk6FNRJkQbipuBQi0N9pfjvOxiteJbfgXM4nE3UStIkWENtbAiiM8Ht1r-3jjZQN89PjEa2TU1sttGgnt3DzRUUVT2fQTWGhzsophp8jKGcLCcTDabV122hQbGAz5dl-Qzlop5fwvUblI8_ITy9QvG-hdZD9zQPun_sIGew6_T39dHB3rDfG-kxI7i54FGhPErMQClOhGf41HYtIqiyqU8YV54wCSW-ISyGPRJwyzJYSHCouGBhQDpoZzWbZKGMVSRTN_rlcSrjTPYOnaHkFuM2bqrbq2oc5bk8z6IzN7uQmGJqcJN8Azngad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갑상선결절에서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유용성
The Adequacy of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in Thyroid Nodules
EISSN 2093-5978
EndPage 15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65782
2424071
GroupedDBID 53G
5VS
8XY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GROUPED_DOAJ
HZB
OK1
PGMZT
Q5X
RPM
5-W
8JR
ABDBF
ACUHS
ACYCR
ADRAZ
AOIJS
BAWUL
DIK
EF.
HYE
IPNFZ
KQ8
M48
RIG
ID FETCH-LOGICAL-k532-59b49cb431ecc739b0d48a6394c84d357cb91343d09652b3e76605f32fc795fe3
ISSN 2093-596X
IngestDate Sun Mar 09 07:51:13 EDT 2025
Fri Apr 25 03:24:26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2-59b49cb431ecc739b0d48a6394c84d357cb91343d09652b3e76605f32fc795fe3
Notes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G704-001505.2005.20.2.006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65782
kiss_primary_242407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5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5-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05
  text: 2005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PublicationTitleAlternate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PublicationYear 2005
Publisher 대한내분비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내분비학회
SSID ssj0000884121
ssib050731150
Score 1.5987372
Snippet 연구배경: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절이 크기가 작고 불분명하거나,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렵거나, 복합 낭종인 경우에는 적절한 표본 획득의 어려움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54
SubjectTerms Fine needle aspiration
Thyroid nodule
내과학
Title 갑상선결절에서 초음파 유도 세침흡인검사의 유용성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42407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71611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5, 20(2), , pp.154-15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hMx0Gp74oJABVFeChI-VYvWa2_WFqfdbaKCBBeC1Fu0ryCUklQhuXDikUMPkYATCDVSuIHEoVQcyi8F9x-Y8W6SDSpS4WLNesYzY49lj732mJDbacTBUU2UBa6otIQjuBVxW1pSiBiG5MRVLl4UfvCwuv1Y3N9xd1ZW75ZOLQ368Z3kxan3Sv7HqpAHdsVbsv9g2TlTyAAY7AspWBjSM9mY1nwa2FQxWgup5OAVGkBQ3zYoB7GQA59SIqA8quyCRoWbCAVihtuiMqQ1k8ocp0zRWkBlHUpsFgUDQx4o6kskh3I-KxggysiVuRSH-mGBUrLMEgCf-mrGkS39IOikXRjLOovoUM-yPvTVXXzPAxziR1l3sFvawZjJFkYb36gFUjwqxYIkQGWUwciqqWiIn5ItSEDxHONjPbDltgyJOEUQ8BdFJaG2vr20eeKW_gNhdzfSQ0MOHF1sg1wf5BQYqTmgDJDTqKI2MlyM1Y6tuOUq8ygjTKvlvPyFomJ-YHnE7MLVYEUw9KUo4H_MzktxwNvJ0-aTbrPda8Jq517Tq-JjBKtklbPybgIMpeDlYxgle77dCJOJYOYW4lxVcEJgjfIcnKpOr1VyqhoXyPliNVTx8659kay0u-ukPj18r9-80sPJ9OhQT_b1h3d6eFDRP_b1eHQyGlX0weTX22FFD4_1zy8n4896fDw9eqlff9Pjj4jUn77q4fdLpFGvNcJtq3juw2q73AGVYqGSGBxaGFU8rmI7FTICB1okUqTc9ZIYT4nwFOMVOTHPvCosxVvcaSWeclsZv0zWOt1OdoVUomqcRZngPIs9PPEQsYSlnh2xlkgEY9kGWceaN_fygC5NvCIFrvYGuQUtYRr5r4199Qw018i5RV-7Ttb6vUF2A1zXfnzTGOk3Fnl_bA
linkProvider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91%EC%83%81%EC%84%A0%EA%B2%B0%EC%A0%88%EC%97%90%EC%84%9C+%EC%B4%88%EC%9D%8C%ED%8C%8C+%EC%9C%A0%EB%8F%84+%EC%84%B8%EC%B9%A8%ED%9D%A1%EC%9D%B8%EA%B2%80%EC%82%AC%EC%9D%98+%EC%9C%A0%EC%9A%A9%EC%84%B1&rft.jtitle=Endocrinology+and+metabolism+%28Seoul%29&rft.au=%EC%9D%B4%ED%9A%A8%EC%A7%84&rft.au=%EB%82%98%EC%86%8C%EC%98%81&rft.au=%EA%B6%8C%EA%B8%B0%ED%98%84&rft.au=%EC%9D%B4%EC%A4%80%EC%B2%A0&rft.date=2005-04-30&rft.pub=%EB%8C%80%ED%95%9C%EB%82%B4%EB%B6%84%EB%B9%84%ED%95%99%ED%9A%8C&rft.issn=2093-596X&rft.eissn=2093-5978&rft.spage=154&rft.epage=1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6578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93-596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93-596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93-596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