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본 연구는 아동중심놀이치료가 PTSD 아동의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놀이치료과정을 Ray(2010)의 놀이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남동생과 함께 교통사고를 경험한 만 5세 남아를 대상으로 총 20회기의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PTSD 증상에 대하여 아동중심놀이치료가 치료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는 초기단계(1-4회기)에서 무력함, 혼란, 불안, 절망의 주제, 중기단계(5-16회기)에서 애도, 보상, 보호, 숙달, 양육, 힘/통제, 회복력/탄력성의 주제, 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7; no. 3; pp. 363 - 378
Main Authors 김경희, Kyung Hee Kim, 임맹자, Maeng Ja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08.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아동중심놀이치료가 PTSD 아동의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놀이치료과정을 Ray(2010)의 놀이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남동생과 함께 교통사고를 경험한 만 5세 남아를 대상으로 총 20회기의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PTSD 증상에 대하여 아동중심놀이치료가 치료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는 초기단계(1-4회기)에서 무력함, 혼란, 불안, 절망의 주제, 중기단계(5-16회기)에서 애도, 보상, 보호, 숙달, 양육, 힘/통제, 회복력/탄력성의 주제, 종결단계(17-20회기)에서 관계, 자급자족, 회복력/ 탄성, 통합의 주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의 치료효과와 놀이주제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an effective method to treat a child suffering from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to analyze play therapy based on mainly the play themes suggested by Ray(2010). Twenty sessions of the child centered play therapy were carried out with a boy aged six in total who had experienced a car accident with his younger brother, subjects who were quite possibly exhibiting symptoms of PTSD. The change in play themes shown during the sess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Helplessness, Chaos, Anxiety, Hopelessness in the early phase(1-4), Relationship, Grief, Reparation, Protection, Nurturing, Mastery, control in the mid phase(5-16), Self-sufficiency, Resiliency, and Integration in the later phase(17 20).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curative power of client-centered therapy approach on a child experiencing PTSD using play themes.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4.17.3.005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