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이 필요했던 중증 급성 신손상 환자에서 신장기능의 예후
목적: 투석을 요하는 중증 급성 신손상은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신기능의 회복 정도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 급성 신손상 이후 신장기능의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투석을 시행한 급성 신손상 환자 중 퇴원 후 1개월까지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기저 만성신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와 세뇨관 괴사가 아닌 다른 급성 신손상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신장기능의 예후 평가를 위해 투석 중단 여부와 완전 회복 여부를 보았으며, 완전...
Saved in:
Published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28; no. 4; pp. 295 - 30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신장학회
30.07.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투석을 요하는 중증 급성 신손상은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신기능의 회복 정도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 급성 신손상 이후 신장기능의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투석을 시행한 급성 신손상 환자 중 퇴원 후 1개월까지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기저 만성신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와 세뇨관 괴사가 아닌 다른 급성 신손상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신장기능의 예후 평가를 위해 투석 중단 여부와 완전 회복 여부를 보았으며, 완전 회복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기준으로 투석 중단 후 기저치로 회복되거나 기저치가 없는 환자에서 남자의 경우 1.5 mg/dL 이하, 여자의 경우 1.3 mg/dL 이하로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122명의 환자를 조사하였고 남자는 79명 (65%)이었고, 평균 나이는 54±16세였다. 이 중 87명 (71%)의 환자가 CRRT를 시행 받았다. 55%는 허혈성 급성 신손상, 패혈성, 신독성 급성 신손상은 각각 29%, 16%였고, 투석 기간은 12 (6-29)일이었다. 투석 개시 30일째와 60일째 투석 중단률은 각각 51%, 77%였다. 투석 개시 60일째 50%의 환자에서 신기능의 완전 회복을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고령 (Hazard ratio (HR)=0.981, 95% Confidence interval (CI) 0.963-0.999), 급성 신손상의 원인이 허혈성인 경우 신독성에 비하여(HR=0.481, 95% CI 0.238-0.974) 그리고 핍뇨기간이 길수록 (HR=0.979, 95% CI 0.962-0.996) 완전 회복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주 이상 투석을 시행한 환자에서도 33%에서 완전 회복을 이루었다. 결론: 투석을 요하는 중증 급성 신손상에서 60일까지 50%가 완전 회복되었다. 신기능 회복과 관련된 독립된 예후인자로 연령이 적을수록, 핍뇨기간이 짧을수록 회복률이 높았고 원인이 허혈성인 경우 회복률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급성 신손상 환자의 신장기능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Acute tubular necrosis (ATN) is a serious complic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nal outcome of severe ATN requiring RRT and prognostic factors for renal recovery.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May 2008, surviving patients with presumed ATN requiring dialys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pre-existing chronic kidney disease and other causes of ARF rather than ATN were excluded. Primary outcomes were complete renal recovery (CR) and dialysis withdrawal. CR was defined as a return to basal serum creatinine level or creatinine <1.5 mg/dL (male) or <1.3 mg/dL (female) without dialysis. Results: Of one hundred twenty two patients, 79 (65%) patients were male. The mean age was 54±16 years and 87 patients (71%) receive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55% had ischemic ATN, 29% had septic ATN, and 16% had nephrotoxic ATN. Mean duration of dialysis was 12 (6-29) days. Dialysis withdrawal rate at 30 days and at 60 days after initiation of dialysis were 51% and 77%, respectively. CR at 60 days after initiation was 50%.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older age (per year, Hazard ratio (HR)=0.981, 95% Confidence interval (CI) 0.963 to 0.999), ischemic ATN (vs. toxic ATN, HR=0.481, 95% CI 0.238 to 0.974),and longer duration of oliguria (per day, HR=0.979, 95 % CI 0.962 to 0.996)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renal recovery. Conclusion: Young age and short duration of oliguria were favorable factors for renal recovery from ATN requiring dialysis. The cause of ATN might be also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G704-000889.2009.28.4.016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