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즈, 칸트, 그리고 구성주의

공리주의의 대안 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윤리학에서 칸트와 롤즈는 특별한 관계 에 놓여 있다. 이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칸트적 구성주의’와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를 구분해야 한다. 칸트적 구성주의는 롤즈가 자신의 정의론에서 적용한 계약론적 방법론을 칸트의 도덕이론 자체가 아니라 그의 도덕철학의 핵심 개념인 목적의 왕국, 자율성 및 정언명법 등에 대한 절차적 해석을 가하면서 그 전략과 방법에 있어서 칸트의 견해와의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한 명칭이다. 반면에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는 롤즈가 윤리학에서의 칸트의 고유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Vol. 20; pp. 117 - 150
Main Authors 맹주만, Joo Man Mae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15.12.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372
2734-05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공리주의의 대안 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윤리학에서 칸트와 롤즈는 특별한 관계 에 놓여 있다. 이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칸트적 구성주의’와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를 구분해야 한다. 칸트적 구성주의는 롤즈가 자신의 정의론에서 적용한 계약론적 방법론을 칸트의 도덕이론 자체가 아니라 그의 도덕철학의 핵심 개념인 목적의 왕국, 자율성 및 정언명법 등에 대한 절차적 해석을 가하면서 그 전략과 방법에 있어서 칸트의 견해와의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한 명칭이다. 반면에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는 롤즈가 윤리학에서의 칸트의 고유한 견해임을 규명하면서 부여한 이름이다. 그러나 이 글은 우선 칸트의 고유한 윤리적 견해를 도덕적 구성주의가 아니라 절차적 구성주의를 주요 특징으로 함의하고 있는 도덕적 실재론으로 이해하면서, 롤즈의 칸트 이해의 부적절성을 지적한다. 아울러 롤즈는 자신이 규정한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에 함축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형이상학적 요소들과 정당화하기 어려운 도덕적 전제들을 제거 내지는 약화시키는 방식, 이른바 반실재론 경향을 띠고 있는 자신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원초적 입장, 무지의 베일 등 자신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을 정당화하는 무기로 삼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대체로 합리적 행위자의 능력 및 성격과 관련하여 도덕법칙, 순수한 실천이성과 경험적 실천이성의 성격과 역할의 경시, 그리고 전반적으로 인간의 본성에 대한 우연적 가정들로 가득한 칸트의 인간학적 이해와 이 같은 조건들에 좌우되는 않는 칸트의 이성 중심의 비인간학적 이해의 근본적 차이 등에 대한 부정확한 독해가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롤즈의 칸트적 구성주의가 그가 해석한 칸트의 고유한 견해로서의 도덕적 구성주의뿐만 아니라 칸트 자신의 그것과도 유사성을 갖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 이유를 우리는 그 역은 아니지만 칸트의 도덕적 실재론이 구성주의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롤즈의 구상이 칸트의 철학에 대한 부정확한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긴 하지만, 롤즈의 칸트적 구성주의는 그것이 칸트의 실천철학의 현실적 변형과 적용을 위한 롤즈 자신의 의도적인 재해석의 성격이 짙다는 점을 고려할 때, 칸트의 도덕철학의 한 변형으로서 합리적 행위자들 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한 도덕적 합의라는 실천적 합리성의 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윤리학에서의 구성주의를 분명히 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Kant and Rawls are in a special relationship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and character of Kantian constructivism as anti-utilitarianism in ethics. On the one hand, Rawls claims that there exist deep conceptual affinites between his own position and Kant's, with respect both to the derivation of moral principles and their content. This is called Kantian constructivism by him. On the other hand, Rawls interprets Kant's moral view into moral constructivism. What is more, Rawls disagrees with Kant on the nature of reason and the range of its activities. Specifically, he limits the competence of reason in such a way as to preclude it from functioning in the manner that Kant describes in his moral theory. But Kants own moral theory is a moral realism including a procedural constructivism as its essential character, not the reverse. From this point of view, Rawls presents constructivism which is based on anti-realism. On balance, it seems to me that early Rawls' Kantian constructivism, including later his political constructivim, introduced and established constructivism in ethics in that he presented a more realistic model of practical rationality than Kants as a transformation of Kant's moral philosophy.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Koreanische Kant-Gesellschaft
G704-001222.2007..20.009
ISSN:1598-9372
273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