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자치활동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청소년 자치활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청소년자치활동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살펴보고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본 연구이다. 이에 2009년 5월 21일부터 30일까지 현재 청소년 자치활동 중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운영위원회 등으로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군산시에 재학 중이거나 청소년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방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총 579명의 청소년자치활동 현황 및 임파워먼트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자치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의 임파워먼트...
Saved in:
Published in | 청소년복지연구 Vol. 12; no. 3; pp. 1 - 2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0.09.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705 2466-234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청소년 자치활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청소년자치활동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살펴보고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본 연구이다. 이에 2009년 5월 21일부터 30일까지 현재 청소년 자치활동 중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운영위원회 등으로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군산시에 재학 중이거나 청소년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방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총 579명의 청소년자치활동 현황 및 임파워먼트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자치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의 임파워먼트가 활동을 전개하지 않는 청소년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치활동 영역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공적참여 조직 집단`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개인내적, 대인관계, 정치사회 임파워먼트 모든 부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수준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단독의 리더 수준 집단, 공동의 리더 수준 집단, 활동적인 직원의 역할 수준 집단, 회원 수준 집단, 관중 수준의 집단, 방관자 수준의 집단 순으로 높았다. 청소년자치활동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치활동에서의 참여수준과 활동에 관한 만족도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자치활동의 발전 과제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ctivities to local governments to identify activities of youth empowerment, empowermen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that affect what is study. This 21 to 30 May 2009 Youth currently active special meeting of the youth, youth participation and youth such as the Steering Committee, a student at Gunsan or of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Purposive sampling to target school children How to perform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over 579 youth empowerment status and degree of self-government activ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youth local activities that youth empowerment activities without youth than was higher than that autonomous activity area, according to the empowerment of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participation organized groups` empowerment levels interpersonal, political and social empowerment, was the highest in all area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empowerment of a single-level group of leaders, a group co-leader level, the active role of staff-level group, a group member level, the level of the group of spectators, was followed by a group of bystanders level. Empowerment of youth in government activitie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activities and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degre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velopment of youth issues and local action plan was presented.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G704-002137.2010.12.3.001 |
ISSN: | 1229-4705 2466-2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