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화교화인 사회의 재구성과 네트워크 변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화교화인 사회를 논했다. 새로운 해외화교화인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제도적, 국제적 배경을 살펴보고, 해외 화교화인네트워크의 양적 구성과 질적 특성을 찾아내는데 주력했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의 해외 한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함의를 찾고자 노력했다. 2012년 기준으로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화교화인의 규모는 4,136만 명에 달하며, 지역별로는 아시아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다음이 미주, 유럽, 호주를 포함한 대양주, 아프리카의순이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면서 아시아권에 비해서 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소연구 Vol. 38; no. 2; pp. 117 - 142
Main Author 김윤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5.08.2014
아태지역연구센터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38.2.201408.00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화교화인 사회를 논했다. 새로운 해외화교화인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제도적, 국제적 배경을 살펴보고, 해외 화교화인네트워크의 양적 구성과 질적 특성을 찾아내는데 주력했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의 해외 한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함의를 찾고자 노력했다. 2012년 기준으로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화교화인의 규모는 4,136만 명에 달하며, 지역별로는 아시아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다음이 미주, 유럽, 호주를 포함한 대양주, 아프리카의순이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면서 아시아권에 비해서 미주와 유럽 등지의 화교화인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새롭게 재구성된 화교화인 사회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우선 경제적으로 화교화인 기업은 기존의 가족주의적, 전통적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현대적 경영방식과 초국가적 기업군으로의 발전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화교화인 사회는 갈수록 참정의식이 강화되고 다양한 정치단체가 형성되어 현지정부에 압력단체로서 활동하는 빈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해외 화교화인 사회는 중화문화 전파의 선도자로서의 초국가적 사회단체로 그 역할과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초국가적인 화교화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발전시키며, 모국인 중국과의 연계를 강화해 나감으로써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ibliography:ASIA-PACIFIC RESEARCH CENTER HANYANG UNIVERSITY
G704-000471.2014.38.2.006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38.2.201408.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