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북 지역 Helicobacter pylori 일차 및 이차 치료의 연도별 제균율 변화 최근 9년 성적

목적: 최근 H. pylori의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으나, 각 지역별로 H. pylori 일차 삼제요법에 의한 제균율의 변화추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대구 경북지역의 단일기관의 최근 9년간 H. pylori 제균율의 변화추세를 조사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H. pylori 양성으로 진단받고 일주일간 일차 제균 요법을 시행한 615명의 환자의 제균율을 연도, 궤양 위치에 따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H. pylori 제균율은 81.6%였다. 궤양 위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6; no. 2; pp. 186 - 192
Main Authors 조한진, Han Jin Cho, 배락천, Rack Cheon Bae, 이순학, Soon Hak Lee, 장선익, Sun Ik Jang, 이현석, Hyun Seok Lee, 최소영, So Young Choi, 신근영, Keun Young Shin, 허준, Jun Heo, 김성국, Sung Kook Kim, 정민규, Min Kyu Jung, 전성우, Seong Woo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최근 H. pylori의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으나, 각 지역별로 H. pylori 일차 삼제요법에 의한 제균율의 변화추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대구 경북지역의 단일기관의 최근 9년간 H. pylori 제균율의 변화추세를 조사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H. pylori 양성으로 진단받고 일주일간 일차 제균 요법을 시행한 615명의 환자의 제균율을 연도, 궤양 위치에 따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H. pylori 제균율은 81.6%였다. 궤양 위치와 PPI의 종류에 따른 제균율의 차이는 없었다. Per-protocol 분석에 의한 연도별 제균율은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년에 각각 76.3%, 78.3%, 82.8%, 88.5%, 77.8%, 91.7%, 84.8%, 75.4%, 83.7%였다. 최근 9년간 제균율의 차이는 없었다(p=0.760). 결론: 대구 경북지역에서 일차 제균 치료로서 PPI를 기본으로 하는 삼제 병합요법은 최근 9년 동안 제균율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아 아직까지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되나, 절대적인 치료효과가 낮아 향후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reported preval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i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as been increasing. However, recent trends in the eradication rates of H. pylori using first-line triple regimens are rarely reported. Therefore, we determined the trend in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s in a single center for the most recent 9 years in Daegu and Kyungpook provinces, Korea. Methods: From January 1999 through December 2007, the eradication rates in 615 H. pylori-positive patients who received one-week triple regimen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year and ulcer location. Results: The overall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81.6%. The eradication rate from the years 1999 to 2007 was 76.3, 78.3, 82.8, 88.5, 77.8, 91.7, 84.8, 75.4, and 83.7%, respectively, based on the per-protocol analysis. No definite evidence of a decreasing tendency of the eradication rate was seen over the 9 years (p=0.760).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 according to ulcer location. Conclusions: There is no decreasing trend in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 over the past 9 years in Daegu and Kyungpook provinces. However, the eradication rates are not satisfactory, and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velop more effective regimens.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09.76.2.011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