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 내 Matrix Metalloproteinase-9 농도와 제대염의 연관성

목적: 융모양막염, 제대염 등의 자궁 내 염증은 조산의 주된 요인이다. 과거 문헌에서 MMP-8, ICAM-1 등은 자궁 내염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3(ICAM-3)는 그 연관성이 아직까지 충분히 조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제대혈 내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MMP-9, ICAM-3의 농도가 융모양막염, 제대염, 그리고 기관지폐 형성 이상(broncho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erinatology (Online) pp. 58 - 66
Main Authors 심순섭, 강혜심, 맹영희, 김영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주산의학회 31.03.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4887
2508-48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융모양막염, 제대염 등의 자궁 내 염증은 조산의 주된 요인이다. 과거 문헌에서 MMP-8, ICAM-1 등은 자궁 내염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3(ICAM-3)는 그 연관성이 아직까지 충분히 조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제대혈 내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MMP-9, ICAM-3의 농도가 융모양막염, 제대염, 그리고 기관지폐 형성 이상(bronchopulmonary dysplasia,BPD)와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82쌍의 재태연령 35주 미만의 조산아와 그 산모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제대혈 내TNF-α, MMP-9, ICAM-3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태반조직검사 결과 및 조산아와 산모의 임상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제대혈 내 MMP-9의 농도는 제대염을 보였던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7). 제대혈 내TNF-α의 농도는 BPD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30). 제대혈 내 ICAM-3의 농도는 BPD군에서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재태연령을 보정하였을 때는 이러한 유의성이 사라졌다. 제대염 예측을 위한 ROC 곡선 분석에서 제대혈 내 MMP-9의 예측도는 0.847 (standard error, 0.112; 95% confidence interval, 0.750-0.917)이었고, 최적의결정치는 99.42 pg/mL이었다. 결론: 제대혈 내 MMP-9농도의 측정은 조산아가 태아염증반응에 노출되었는지 예측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좀더 많은 수를 대상으로 자궁 내 염증과 신생아 이환율에 대한 보다 명확한 연관성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Intrauterine inflammation (IUI) is a leading cause of preterm delivery. Although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 and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are known to be related with IUI, it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whether MMP-9 or ICAM-3 is associated with IUI. We performed this study todetermine whether th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MMP-9 and ICAM-3 in umbilical cordblood of preterm infants are associated with chorioamnionitis, funisitis 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Methods: Eighty-two pairs of pregnant women and their preterm newborns <35 weeks gestation wereenrolled. Levels of TNF-α, MMP-9 and ICAM-3 in umbilical cord blood were measured using immunoassaysand compared with results of histological examination of placenta and clinical data of the study participants. Results: The level of MMP-9 in umbilical cord bloo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funisitis(P =0.007). The level of TNF-α in umbilical cord bloo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bronchopulmonary dysplasia (P =0.030). However, presence of chorioamnionitis or funisitis was not associatedwith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With the establishment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the best cut-off value for umbilical blood MMP-9 was 99.42 pg/mL in identification of funisitis. The area under a constructed ROC curve for prediction of funisitis was 0.847 (standard error, 0.112; 95%confidence interval, 0.750-0.917). Conclusion: Measurement of MMP-9 concentration in umbilical cord blood may be an alternative way topredict whether a preterm infant has been exposed to IUI. Further study with larger numbers of subjects will benecessary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IUI and neonatal adverse outcome.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09409.2015.26.1.004
ISSN:2508-4887
2508-4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