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본 연구는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년기 놀이경험, 놀이에 대한 인식, 모-자 놀이실태 및 현재 자녀인식에 관한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놀이에 관련된 수요자로서의 어머니의 기본인식과 실제 놀이모습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어머니들에게 보다 적합한 자녀 놀이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그에 필요한 기초정보 수집을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놀이에 관한 부모인식조사``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대전시 거주 해당 어머니 48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4; no. 2; pp. 37 - 5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0.05.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년기 놀이경험, 놀이에 대한 인식, 모-자 놀이실태 및 현재 자녀인식에 관한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놀이에 관련된 수요자로서의 어머니의 기본인식과 실제 놀이모습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어머니들에게 보다 적합한 자녀 놀이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그에 필요한 기초정보 수집을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놀이에 관한 부모인식조사``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대전시 거주 해당 어머니 48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 경험과 인식은 자녀의 놀이모습과 발달에 다양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현재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놀이의 의미와 중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는 데 비해 실제 참여와 지원행동은 부족하여 놀이 관련 인식과 행동 간에 모순을 보인다. 셋째, 어릴 때 자신의 어머니와 많이 놀아본 어머니일수록 자녀와 더 오랜 시간 더 다양한 활동을 하며 놀아주고, 아동이 어머니와 함께 하는 놀이시간과 놀이활동수가 증가할수록 아동의 발달·적응·행복수준은 높아진다. 넷째, 유년기에 부모와 놀이를 많이 해본 어머니일수록 자녀와의 놀이기대 일치도가 높으며, 놀이의 모자일치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발달·적응·행복은 증진된다. 다섯째, 놀이의 개념에 대한 어머니의 이해가 넓고 긍정적일수록 모-자 놀이활동수가 증가하며, 아동의 발달과 행복이 증진된다. 여섯째, 어머니가 놀이의 과정을 중시하지 않을수록 자녀는 혼자 노는 시간이 늘어나며, 반대로 놀이과정을 중시하고 아동은 필요해서 노는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자녀의 행복수준은 올라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childhood play experience, maternal perception of child play, mother-child play condition, and maternal perception of her child aged between preschool and third grade. The 484 mothers residing in Daejeon, Korea participa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f "Parental Perceptions of Play", aimed to gather primary information concerning mother`s perception and behavior concerning child`s play.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in understanding mothers and facilitating them for children`s play and develop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childhood play experiences were related to the child`s play condition and his development in a diverse manner. Second, mother`s level of support for her child`s play was relatively low although her apprehension levels of play and its importance were very high, which revealed the discrepancy between her perception and actual behavior. Third, mothers who played with their own mothers more during their childhood spent more time engaging in various play activities with their child. This subsequently enhanced the child`s level of development, adjustment and happiness. Fourth, mothers who played with their parents more during their childhood showed higher agreement with their child in the kinds of play the child liked to play. This also increased the level of development, adjustment and happiness for their child. Fifth, the child`s development and happiness increased as mother`s understanding of play became broader and more positive. Lastly, the more the mother neglected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of play, the more often the child played alone. The level of child`s happiness, however, grades up as her appreciation of the seriousness of play process increases along with her notion that children play out of necessity.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1.14.2.002 |
ISSN: | 1229-0858 2384-0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