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인증제의 비판적 고찰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명확한 개념 규정 없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서 인증제에 대해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현행 독서 인증제의 개요를 살펴보고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독서 인증제의 시행 실태를 바탕으로 독서 인증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판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서 인증제의 개념 정의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개념 정의를 내리고 있다. 다음으로, 무엇을 인증해야 할 것인지를 분명히 하여 인지적 독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독서연구 Vol. 12; pp. 299 - 332
Main Authors 홍인선, In Seon 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독서학회 31.12.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607
2713-91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명확한 개념 규정 없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서 인증제에 대해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현행 독서 인증제의 개요를 살펴보고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독서 인증제의 시행 실태를 바탕으로 독서 인증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판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서 인증제의 개념 정의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개념 정의를 내리고 있다. 다음으로, 무엇을 인증해야 할 것인지를 분명히 하여 인지적 독서 능력과 정의적 독서 능력 그리고 기타의 독서 소양으로 나누어 독서 인증의 평가 범주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독서 인증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증의 이유를 경제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아울러 독서 인증제의 명과 암을 지적하고 그 발전 방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 accurate standard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in operation in our country without a precise conceptual regulation. The critical argument presented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indicated that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incorrect and therefore presented a new one. Second, this thesis shows precisely what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to certify. That is, this thesis presented the evaluation category about the system such as cognitive reading ability, emotional reading ability, and extra reading attainment. Third, this thesis presented the reading certification method in a concrete way. Next, this thesis considered the reason of certification, dividing economic aspects and educational aspects.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indicated the affirma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presented the improvement methods in detail.
Bibliography:G704-001476.2004.-.12.011
ISSN:1598-9607
2713-9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