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나이에 따른 최대근력의 변화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만으로는 근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저항운동으로 근력 운동을 병행했을 때 근질량, 근력 및 인슐린감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에서 저항운동의 기준이 되는 최대근력에 대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운동 강도와 부하의 척도가 되는 최대근력의 기준 자료를 마련하고, 연령에 따라 최대근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2형 당뇨병환자 총 266명(남: 95, 여: 171)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근력의 척도로 최대근력(1R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iabetes & metabolism journal Vol. 33; no. 5; pp. 412 - 420
Main Authors 권휘련, Hwi Ryun Kwon, 구윤희, Yun Hyi Ku, 안희정, Hee Jung Ahn, 정지연, Ji Yun Jeong, 류상열, Sang Ryol Ryu, 구보경, Bo Kyung Koo, 한경아, Kyung Ah Han, 민경완, Kyung Wan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당뇨병학회 30.10.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6079
2233-60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만으로는 근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저항운동으로 근력 운동을 병행했을 때 근질량, 근력 및 인슐린감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에서 저항운동의 기준이 되는 최대근력에 대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운동 강도와 부하의 척도가 되는 최대근력의 기준 자료를 마련하고, 연령에 따라 최대근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2형 당뇨병환자 총 266명(남: 95, 여: 171)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근력의 척도로 최대근력(1RM; KEISER, Fresno, CA, USA)을 측정하였고, 최대근력 측정을 위해 상체는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하체는 레그 프레스(leg press)를 이용하였다. 결과: 상·하지 최대근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지 최대근력: (남) r=-0.454, P<0.001, (여) r=-0.480, P<0.001; 하지 최대근력: (남) r=-0.569, P<0.001, (여) r=-0.452, P<0.001. 남자의 최대근력은 나이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70대부터 관찰되었고 여자는 50대부터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남·녀 모두 최대근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대 이후부터 저항운동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muscle strength with only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type 2 diabetes patients. Resistance trai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insulin sensitivity. One repetition maxima (1RM), or the maximum amount of weight a subject can lift in a single repetition, may be a useful unit for evaluating the results of resistance training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baseline values for 1RM in a sample of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at are scaled for intensity and load of exercise,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1RM to age. Methods: A total of 266 (male: 95, female: 171)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Maximal muscle strength was assessed by measuring 1RM for each subject (KEISER, Fresno, CA, USA). Two different exercises were used to measure 1RM: the chest press for the upper extremities, and the leg press for the lower extremities. Results: Both upper and lower values of 1RM decreased with age in men and women; upper 1RM: r=-0.454, P<0.001 in men, r=-0.480, P<0.001 in women, lower 1RM: r=-0.569, P<0.001 in men, and r=-0.452, P<0.001 in women. Values of 1RM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n only after the age of 70. In women, values of 1RM continuously decreased after the age of 60. Conclusion: The maximal muscle strength of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decreases with age. We believe that resistance training is especially beneficial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after the sixth decade of life. (Korean Diabetes J 33:412-420, 2009)
Bibliography:Korean Diabetes Association
G704-SER000002700.2009.33.5.002
ISSN:2233-6079
2233-6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