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배구관중의 관여도가 타이틀 스폰서 기업의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힐스테이트 2006-2007 V-리그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힐스테이트 2006-2007 V-리그에서 프로배구관중의 관여도와 타이틀 스폰서십의 지각된 촉진, 기업이미지, 브랜드 자산과의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관여도가 타이틀 스폰서 기업의 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프로배구의 성공적인 타이틀 스폰서십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힐스테이트 2006-2007 V-리그 서울중립경기에 입장한 관중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429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결...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19; no. 1; pp. 89 - 10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08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08.19.1.89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힐스테이트 2006-2007 V-리그에서 프로배구관중의 관여도와 타이틀 스폰서십의 지각된 촉진, 기업이미지, 브랜드 자산과의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관여도가 타이틀 스폰서 기업의 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프로배구의 성공적인 타이틀 스폰서십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힐스테이트 2006-2007 V-리그 서울중립경기에 입장한 관중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429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12. 0 통계패키지와 AMOS 4.0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여도는 지각된 촉진의 보드광고, 대회정보, 판매촉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는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촉진의 보드광고는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이미지는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관여도는 타이틀 스폰서의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 among participation of pro volleyball audience, perceived promotion of title sponsorship, enterprise image, brand property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brand property of title sponsor enterprise and was to give some basic materials for successful title sponsorship of pro volleyball in 2006-2007 V-league. The subjects were spectators who watched games in Hillstate 2006-2007 V-league, Seoul. I used 429 questionnaires and utilized SPSS 12.0 and AMOS 4.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board advertisement of perceived promotion, game information, sales promotion. Second, particip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enterprise image. Third, board advertisement of perceived promo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enterprise image. Fourth, enterprise image had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and brand recognition. But, in this study participation had no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and brand recognition of title sponsor. |
---|---|
Bibliography: | G704-000739.2008.19.1.003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08.19.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