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관상동맥 혈류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Background: In sudden cardiac arrest,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coronary artery blood flow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myocardial preservation as well as cardiac recovery and patient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rectly compare the effects of pulsatile and non-pulsatile circulat...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Hyungbu Oekwa Hakhoe chi Vol. 38; no. 2; pp. 101 - 109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2005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Background: In sudden cardiac arrest,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coronary artery blood flow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myocardial preservation as well as cardiac recovery and patient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rectly compare the effects of pulsatile and non-pulsatile circulation to coronary artery flow and myocardial preservation in cardiac arrest condition. Material and Method: A cardiopulmonary bypass circuit was constructed in a ventricular fibrillation model using fourteen Yorkshire swine weighing $25\~35$ kg each. The anim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I (n=7, non-pulsatile centrifugal pump) or group II (n=7, pulsatile T-PLS pump). Extra-corporeal circulation was maintained for two hours at a pump flow of 2 L/m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flow was measured with an ultrasonic coronary artery flow measurement system at baseline (before bypass) and at every 20 minutes after bypass. Serologic parameters were collected simultaneously at baseline, 1 hour, and 2 hours after bypass in the coronary sinus venous blood. The Mann-Whitney U test of STATISTICA 6.0 was used to determine intergroup significances using a p value of < 0.05. Result: The resistance index of the coronary artery was lower in group II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t 40 min, 80 min, 100 min and 120 min (p < 0.05). The mean velocity of the coronary artery was higher in group II throughout the study,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rom 20 min after starting the pump (p < 0.05). The coronary artery blood flow was higher in group II throughout the study,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rom 40 min to 120 min (p < 0.05) except at 80 min. Serologic parameter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1 hour and 2 hours after bypass in the coronary sinus blood. Conclusion: In cardiac arrest condition, pulsatile extracorporeal circulation provides more blood flow, higher flow velocity and less resistance to coronary artery than non-pulsatile circulation. 배경: 심정지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유지하는 것은 심장근육의 보존과 회복 및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들어 Extra-Corporeal Life Support System (ECLS)의 기계식 순환장치의 사용으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체외순환 모델에서 박동성 혈류와 비박동성 혈류가 관상동맥의 혈류량 및 심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25\~35Kg$의 돼지 14마리를 각각 7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제 1군은 비박동성 혈류 펌프인 원심펌프를 사용하였고 제2군은 이중 박동형 펌프를 사용하였다. 체외순환은 우심방에서 상행대동맥으로 심폐바이패스를 하고, 9V의 전기 충격으로 심실세동을 만들었다. 체외순환은 2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펌프량은 두 군 모두 2 L/min로 유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관상동맥 혈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좌전하행지의 관상동맥 관류량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20분마다 측정하였다. 또한 관상 정맥동의 혈액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1시간, 2시간에 채취하여 두 군간의 심근효소의 차이와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 관찰지표의 군간 비교는 STATISTICA 통계프로그램(Version 6.0)의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결과: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는 제 2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8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p<0.05). 관상동맥의 평균 혈류 속도는 제 2군에서 펌프 구동 후 20분부터 의미 있게 높게 유지되었다(p<0.05). 관상동맥의 혈류량도 제2군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6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관상정맥동의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박동성 혈류는 비박동성 혈류보다 좌전하행지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를 낮추고, 관상동맥의 관류속도를 빠르게 하여,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량을 높게 유지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528317677646 |
ISSN: | 0301-28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