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강내 금속 고정술을 이용한 대퇴 전자하 골절의 치료

목적: 골수강내 금속 고정을 시행한 대퇴 전자하 골절의 치료에서 정복이 어려운 경우 최소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술과 도수정복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대퇴골 전자하 골절 42예 중 골수강내 금속정 내고정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Fielding 분류와 Russel-Taylor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골절의 분류와 골절 정복의 방법에 따라 도수정복군과 관혈적 정복군으로 나누었다. 골절의 전위가 심하지 않거나 해부학적 정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골절학회지 Vol. 21; no. 1; pp. 13 - 18
Main Authors 황정수, Chung Soo Hwang, 정필현, Phil Hyun Chung, 강석, Suk Kang, 김종필, Jong Pil Kim, 김영성, Young Sung Kim, 박종석, Chong Suk Park, 이상호, Sang H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골절학회 25.01.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골수강내 금속 고정을 시행한 대퇴 전자하 골절의 치료에서 정복이 어려운 경우 최소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술과 도수정복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대퇴골 전자하 골절 42예 중 골수강내 금속정 내고정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Fielding 분류와 Russel-Taylor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골절의 분류와 골절 정복의 방법에 따라 도수정복군과 관혈적 정복군으로 나누었다. 골절의 전위가 심하지 않거나 해부학적 정복을 얻는 경우 도수정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정복이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소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최소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양 군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총 35예 중 15예에서 도수정복을 시행하였고 20예에서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였다. 수술시간과 수혈의 양, 총 입원일수, 부분 체중부하 목발보행, 골유합 기간은 양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술 후 보행능력 및 관절운동범위의 평가상 양 군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대퇴골 전자하 골절의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에 있어 도수정복과 관혈적 정복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골절의 도수정복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적극적 관혈적 정복과 부가적 고정술을 시행하여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얻는 것이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 between closed reduction and minimal open reduction in case of difficult reduction for subtrochanteric fractures fixed with intramedullary nai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1 to May 2005, 35 cases of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 treated by intramedullary nail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a year were selected out of 42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s. Fielding classification and Russel-Taylor classification were used, and according to the fracture classification and method of reduction,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closed or open reduction group. Fracture with minimal displacement or anatomical reduction was fixed by closed reduction, but in case of failed closed reduction or loss of reduction, minimal incision was made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the result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In total of 35 cases, 15 cases were fixed by closed reduction and the rest 20 cases required open reduction. Operation time, amount of transfusion, total hospital days, partial weight bearing ambulation, and union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mbulation and range of motion after the operation were satisfying in both groups. Conclusion: In treatment of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 with intramedullary nail, both closed and open reduction shows satisfying result, therefore when anatomical reduction is difficult to achiev by closed reduction, minimal incision open reduction and additional fix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to obtain anatomical reduction and firm fixation.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G704-001459.2008.21.1.001
ISSN:1225-1682
2287-9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