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수출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분석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자원·환경경제연구 Vol. 31; no. 4; pp. 481 - 503
Main Authors 정현주, Hyunju Jeong, 서동희, Dong Hee Su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1.1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9146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효과에 대한 추정결과 환경혁신의 수출 증진 효과는 장기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공공 부문의 환경혁신이 민간 부문의 환경혁신에 비해 수출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eco-innovation contributes to the export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djustment in the exports exists to recover the long-run equilibrium with sluggish adjustment spee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nd environment-related R&D expenditures are beneficial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ly-friendly exports. While the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re associated only with an increase in the exports of products for resource management, the environmental R&D expenditures contribute to the exports of pollution management products, cleaner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resource management products. Moreover, as the long-run effects of eco-innovation on the exports become greater than the short-run effects, it appears that public eco-innovation is more likely to support future exports than private eco-innovation.
AbstractList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효과에 대한 추정결과 환경혁신의 수출 증진 효과는 장기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공공 부문의 환경혁신이 민간 부문의 환경혁신에 비해 수출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eco-innovation contributes to the export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djustment in the exports exists to recover the long-run equilibrium with sluggish adjustment spee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nd environment-related R&D expenditures are beneficial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ly-friendly exports. While the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re associated only with an increase in the exports of products for resource management, the environmental R&D expenditures contribute to the exports of pollution management products, cleaner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resource management products. Moreover, as the long-run effects of eco-innovation on the exports become greater than the short-run effects, it appears that public eco-innovation is more likely to support future exports than private eco-innov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eco-innovation contributes to the export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djustment in the exports exists to recover the long-run equilibrium with sluggish adjustment spee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nd environment-related R&D expenditures are beneficial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ly-friendly exports. While the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re associated only with an increase in the exports of products for resource management, the environmental R&D expenditures contribute to the exports of pollution management products, cleaner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resource management products. Moreover, as the long-run effects of eco-innovation on the exports become greater than the short-run effects, it appears that public eco-innovation is more likely to support future exports than private eco-innovation.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 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효과에 대한 추정결과 환경혁신의 수출 증진 효과는 장기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공공 부문의 환경혁신이 민간 부문의 환경혁신에 비해 수출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 Hyunju Jeong
정현주
서동희
Dong Hee Suh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현주
– sequence: 2
  fullname: Hyunju Jeong
– sequence: 3
  fullname: 서동희
– sequence: 4
  fullname: Dong Hee Suh
BookMark eNo9jD1Lw0Ach2-oYK39BC5ZHAOX-98l9x9L8bWFLt3D5Q1Ca5Sei2Owg-igQ7EppNDFWRApdvALmct3UKw4_Xh4Hn57pJFdZnGDNB3G0EaHu7ukrXUaUIpMMg-wSXr1ovh6-6yL3DyszPLd2rLZlPViZla5Ze4Ksy7N_MmqXj_MpqjuZ1b1uKhvy19b5PXzi1Wtp2a63Cc7iRrruP23LTI8Php2T-3-4OSs2-nbI0HRTmIELkIVOZEKlYdBzCIqReAGGHJwIU5cyqmUIKhQDAGFcCBSgMoTiUg4tMjh9naU6uvUzyI99s87vQGjjDmuC-BJJhF_uoP_TvtXk_RCTW58QGSUA3wD2eRoO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DEWEY 333.7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Law
Environmental Sciences
DocumentTitleAlternate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수출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분석
EndPage 503
ExternalDocumentID JAKO202216633782899
3992043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ID FETCH-LOGICAL-k509-fe9345cad1daca79be2d085b6b9c4363ef6040883505a29395513da39a75f5f43
ISSN 1229-9146
IngestDate Fri Dec 22 11:59:34 EST 2023
Wed Jun 11 02:10:2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09-fe9345cad1daca79be2d085b6b9c4363ef6040883505a29395513da39a75f5f43
Notes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2216633782899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1663378289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23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216633782899
kiss_primary_399204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2-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2
  text: 2022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SSID ssib009282739
ssib053377400
ssib016108118
ssib044742686
Score 1.8174547
Snippet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This study examines how eco-innovation contributes to the export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SourceID kisti
kiss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81
SubjectTerms Dynamic panel model
Eco-innovation
Environmentally-friendly exports
R&D
동태패널모형
특허권
환경친화적 수출
환경혁신
Title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수출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99204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1663378289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3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09b9NA9NR0YkFUBVGglQduioxin8--G23HUZSqsASpW-RPKEVJRZMBBqSIDggGGCpIpFTqwoyEUEUH_hBx_gPvzk5sSobAYp3fvffu3Xu233sn3zuE7sd6rDEzIWoUholq8FBTme9bqkl0Qs0wjsJArEPuPTSbj43WPt1fq_RLfy0N-sGD8NXSfSX_Y1WAgV3FLtl_sOyCKQCgDfaFK1gYrivZGHt1zDnmDHs2dnTs1CWEQXiIPRczB9s10eB17BjVZdgudgDizrsMAQEaplUlAyaxAcmUSMDJwrwGfcC5gR02Z8AEhNnAQPaxhuAGPBnJ6QqeuXQwnoltKtGBO5Mjw5XXy-GyJPBgSNlwRMMFwa1lUynNCUZbiOvUZBfFRZHJOQqdayubNsHOAqX5ctB9Nqi24l7u2XMyIaH7xxRBt3bpvOfuE_DkMXyPn5bXU3R9XrUxfwMkJZW8MuHqq00po8oGtjFzS-q4wu0vxa3AreShdJ2Dh8rXbXMXlst_UF6fkf7IyM7DuVJSXBQjrhmkgipEE75h77W3-AZzyMGtolIsJAQQNBbxi2FYENMVJQchW4AEQu70WkgG0Q0kP8eQ7okc6KAUr7VvoOt5oqXY2VuzgdYOe5todzYe_fr2czYapu_P07PvSnafXk5m49P0fKikb0fpxST9_FGZfv2RXo6m706V6Yfx7M1E9o6Gs09flOnFSXpydhO1G17bbar5cSLqIUTFahJzYtDQj7TID32LB7EeQb4RmAEPDWKSODHBoTHISGrUhyCYi6OPIp9w36IJTQxyC613e934NlICCOrFDw7UB3gSByInZz4kPyG1giSwttCmUEDnKCsY08n1vYV2pEI63ej4eadl7z4Sz58GMT-x5MLHneV0d9G14kG9h9b7LwbxNoTC_WBH2u43zh-IY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9%98%EA%B2%BD%ED%98%81%EC%8B%A0%EC%9D%B4+%ED%99%98%EA%B2%BD%EC%B9%9C%ED%99%94%EC%A0%81+%EC%88%98%EC%B6%9C%EC%97%90+%EB%AF%B8%EC%B9%98%EB%8A%94+%EB%8F%99%ED%83%9C%EC%A0%81+%EC%98%81%ED%96%A5+%EB%B6%84%EC%84%9D&rft.jtitle=%EC%9E%90%EC%9B%90%C2%B7%ED%99%98%EA%B2%BD%EA%B2%BD%EC%A0%9C%EC%97%B0%EA%B5%AC&rft.au=%EC%A0%95%ED%98%84%EC%A3%BC&rft.au=Hyunju+Jeong&rft.au=%EC%84%9C%EB%8F%99%ED%9D%AC&rft.au=Dong+Hee+Suh&rft.date=2022-12-31&rft.pub=%ED%95%9C%EA%B5%AD%ED%99%98%EA%B2%BD%EA%B2%BD%EC%A0%9C%ED%95%99%ED%9A%8C%C2%B7%ED%95%9C%EA%B5%AD%EC%9E%90%EC%9B%90%EA%B2%BD%EC%A0%9C%ED%95%99%ED%9A%8C&rft.issn=1229-9146&rft.volume=31&rft.issue=4&rft.spage=481&rft.externalDocID=399204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91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