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수출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분석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
Saved in:
Published in |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31; no. 4; pp. 481 - 503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1.1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914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환경혁신이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환경친화적 제품의 수출은 장기 균형에 느리게 수렴하는 동태적 조정과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혁신으로 대표되는 환경 부문의 민간 특허와 환경관련 공공 R&D 지출의 경우 환경친화적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친화적 제품은 자원 관리, 오염 관리, 청정 기술 부문의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특허의 경우 자원 관리 부문의 수출에, R&D 지출의 경우 모든 부문의 수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효과에 대한 추정결과 환경혁신의 수출 증진 효과는 장기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공공 부문의 환경혁신이 민간 부문의 환경혁신에 비해 수출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eco-innovation contributes to the export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djustment in the exports exists to recover the long-run equilibrium with sluggish adjustment spee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nd environment-related R&D expenditures are beneficial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ly-friendly exports. While the environmental patent applications are associated only with an increase in the exports of products for resource management, the environmental R&D expenditures contribute to the exports of pollution management products, cleaner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resource management products. Moreover, as the long-run effects of eco-innovation on the exports become greater than the short-run effects, it appears that public eco-innovation is more likely to support future exports than private eco-innovation. |
---|---|
Bibliography: |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2216633782899 |
ISSN: | 1229-9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