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스피커 제품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사물인터넷(IoT)이 급성장함에 따라 스마트홈 시스템이 많은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가전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 인해 스마트홈 중앙 제어 기능이 있는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집중하여 이루어진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홈 중앙 제어 기능이 있는 스마트 스피커 제품 속성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인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기반한 중국 시장에서의 스마트 스피커 제품 개발시 고려해야 할 속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1; pp. 123 - 136
Main Authors 서정희, Shu Zheng Xi, 이길옥, Lee Gil Oc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1.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사물인터넷(IoT)이 급성장함에 따라 스마트홈 시스템이 많은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가전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 인해 스마트홈 중앙 제어 기능이 있는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집중하여 이루어진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홈 중앙 제어 기능이 있는 스마트 스피커 제품 속성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인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기반한 중국 시장에서의 스마트 스피커 제품 개발시 고려해야 할 속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중국의 스마트 스피커 소비시장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했다. 이후 중국 시장 소비자의 성별, 연령, 스마트 스피커의 사용 경험에 따라 소비자가 스마트 스피커 제품의 속성에 대해 고려하는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제품 속성을 내부 속성(재질, 컬러, 질감), 외부속성(브랜드 정보, 가격, 외관), 기능 속성(인터랙션, 음질, 앱-기기연동, 음성지능성, 데이터, 배터리 항속, 스크린), 추상적 속성(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애호도, 상징적 의미, 서비스)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리커트 척도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56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진행한 후 기술적 통계, 독립 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 속성의 중요성 종합 순위는 내부 속성, 기능 속성, 외부 속성, 추상적 속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소비자 유형에 따라 제품 속성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스마트 스피커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디자인 방향과 요소는 향후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스피커 디자인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home systems have begun to spread to many homes. As the demand for home appliances continues to increase, users’ interest in smart speakers with a smart home central control function is also increasing. However, research on smart speakers focused on the Chinese marke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smart speaker product attributes with a smart home central control function, and based on this, suggest attribute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mart speaker products for the Chinese market.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smart speaker consumption market in China.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that consumers consider about the attributes of smart speaker product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experience of using smart speakers in the Chinese market. To this end, product properties were classified into Intrinsic attributes (material, color, texture), Extrinsic attributes (brand information, decoration, price, appearance), Performance attributes (interaction, sound, app-device linkage, data, battery duration, screen), and Abstract attributes (brand awareness, brand affinity, symbolic meaning service). Th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ased on the Likert scale, and 256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conducting reliability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rehensiv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four attributes appeared in the order of Internal attributes, Functional attributes, External attributes, and Abstract attributes. The design direction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smart speaker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smart speakers for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