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ay 코곁굴 검사에서 위턱굴 진단을 위한 비극-두정방향 촬영법 개발
본 연구는 X-Ray 단순 코곁굴 검사에서 위턱뼈와 위턱굴의 진단하고자 바로누운자세에서 부비동 비극-두정방향은 검사법 연구하였다. Skull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자세와 엑스선관 각도를 변경하여 검사후 영상의학과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5명에게 주관적평가(ROC)를 의뢰한 결과 엑스선관을 머리쪽 또는 다리쪽을 향하여 5° 씩 기울려 검사 시 19점으로 높은 평가를 맞았다. 평가한 점수를 SPSS Ver. 3.0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Cronbach 값이 0.71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위턱굴과 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3; pp. 327 - 33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X-Ray 단순 코곁굴 검사에서 위턱뼈와 위턱굴의 진단하고자 바로누운자세에서 부비동 비극-두정방향은 검사법 연구하였다. Skull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자세와 엑스선관 각도를 변경하여 검사후 영상의학과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5명에게 주관적평가(ROC)를 의뢰한 결과 엑스선관을 머리쪽 또는 다리쪽을 향하여 5° 씩 기울려 검사 시 19점으로 높은 평가를 맞았다. 평가한 점수를 SPSS Ver. 3.0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Cronbach 값이 0.712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위턱굴과 위턱뼈 영상의 관심영역(ROI)을 설정하여 SNR를 산출한 결과 엑스선관 머리쪽 또는 다리쪽 5° 씩 기울려 검사 시 6.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X-Ray 단순검사의 코곁굴 검사에서 비극-두정방향(acanthi oparietal projection: Revesse Waters) 검사 시 엑스선관을 머리쪽 또는 다리쪽을 향하여 5° 씩 기울려 검사할 경우 선예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Diagnose Maxillary Bone and Maxillary Sinus in the X-Ray Paranasal Sinus Projection test, this Study used Skull Rando Phantom to Change the Posture and X-ray tube Angle to 5° of the Head or 5° of ROC Who worked for more than 10 years. The Significance of the Evaluated score was Verified through SPSS Ver. 3.0, and the Cronbach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0.712.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SNR by Setting the ROI(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of the Maxillary bone and Maxillary sinus images, it was the Highest at 6,449 in the Examination by tilting 5° toward the Head or Leg of the X-ray tube. In the study, it is believed that among the X-Ray simple Paranasal Sinus projection tests, a sharp Image can be Obtained during the Examination by Tilting the X-ray tube 5° toward the Head or Leg.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20961559977 |
ISSN: | 197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