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TM을 이용한 협동 로봇 동작별 전류 및 진동 데이터 잔차 패턴 기반 기어 결함진단

최근에는 협동 로봇의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결함진단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협동 로봇의 결함진단을 수행하는 기존 연구들은 기존 연구의 학습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기기의 동작을 가정하고 수집한 정적 데이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결함진단 모델은 학습한 데이터 패턴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단일 모터를 사용한 실험으로 다관절이 동작하는 협동 로봇의 특성을 반영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두 가지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LSTM 진단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단일 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정보처리학회 논문지 (KTSDE) Vol. 12; no. 10; pp. 445 - 454
Main Authors 백지훈, Baek Ji Hoon, 유동연, Yoo Dong Yeon, 이정원, Lee Jung 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처리학회 3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59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에는 협동 로봇의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결함진단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협동 로봇의 결함진단을 수행하는 기존 연구들은 기존 연구의 학습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기기의 동작을 가정하고 수집한 정적 데이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결함진단 모델은 학습한 데이터 패턴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단일 모터를 사용한 실험으로 다관절이 동작하는 협동 로봇의 특성을 반영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두 가지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LSTM 진단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단일 축 및 다중 축 작업 환경에서의 진동 및 전류 데이터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정상 대표 패턴을 선정하고, 정상 대표 패턴과의 차이를 통해 잔차 패턴을 생성한다. 생성된 잔차패턴을 입력으로 축별 기어 마모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LSTM 모델을 생성한다. 해당 결함진단 모델은 동작별 대표 패턴을 통해 모델의 학습데이터 패턴에 대한 의존성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중 축 동작 수행 시 발생하는 결함을 진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부 및 외부 데이터의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결함진단 성능을 개선한 결과 98.57%의 높은 진단 성능을 보였다. Recently, various fault diagnosi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utilizing data from collaborative robots. Existing studies performing fault diagnosis on collaborative robots use static data collected based on the assumed operation of predefined devices. Therefore, the fault diagnosis model has a limitation of increasing dependency on the learned data patterns. Additionall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 diagnos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obots operating with multiple joints could not be conducted due to experiments using a single motor. This paper proposes an LSTM diagnostic model that can overcome these two limitations. The proposed method selects representative normal patterns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of vibration and current data in single-axis and multi-axis work environments, and generates residual patterns through differences from the normal representative patterns. An LSTM model that can perform gear wear diagnosis for each axis is created using the generated residual patterns as inputs. This fault diagnosis model can not only reduce the dependence on the model's learning data patterns through representative patterns for each operation, but also diagnose faults occurring during multi-axis operation. Finally, reflect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data characteristics, the fault diagnosis performance was improved, showing a high diagnostic performance of 98.57%.
Bibliography: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STI1.1003/JNL.JAKO202331377271437
ISSN:2287-5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