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공황장애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Panic disorder is a frequent anxiety disorder. Recently many studies raised that the course of panic disorder is the interaction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 So we use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o control biological factor and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to control psychological fa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 15; no. 2; pp. 211 - 219
Main Authors 장하정, Ha Jeong Jang, 정효창, Hyo Chang Jung, 성우용, Woo Yong Sung, 김진원, Jin Won Kim, 정병주, Byeong Ju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30.11.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6396
2234-494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anic disorder is a frequent anxiety disorder. Recently many studies raised that the course of panic disorder is the interaction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 So we use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o control biological factor and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to control psychological factor of panic disorder, obtained good results. Practicing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we were able to destroy catastrophic misunderstanding. And then in this case, patient is diagnosed Deficiency of Kidney(腎虛) with Fire from stagnation of Liver(肝鬱化火). So we used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according to oriental medical theory and these efforts helped the case of disease. 상기 환자는 $4{\sim}5$년 발한 공황장애로 로컬 정신과에서 1년간 po. med 하시다 별무 호전하시고, 입원 3일전 증세 심하여 본원의 한방치료를 받은 환자로, DSM-4에 의거하면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 환자로 한방적으로는 신음양구허(腎陰陽俱虛)에 간울화화(肝鬱化火)를 겸하였다고 하겠다. 지원탕(志遠湯)을 투여하고, 변증에 따라 자침하며, 주관법(走罐法)을 시행하고, 더불어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여 PDSS상 21점이 13점으로 감소하는 좋은 결과를 내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지만 관찰 기간이 그리 길지 않았고, 한방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함께 시행함으로써 이상의 치료들 중 어떤 치료가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내었는지 그 정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측정절차도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호소에 의존하여 객관성이 다소 결여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공황장애에 대한 한방치료, 인지행동치료, 그리고 두 가지를 병행한 치료를 각각 시행한 후 효과를 후위분석연구를 통해 검증한다면 한방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각각 어느 부분에 어느 정도의 치료효과를 발생시켰는지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향후 객관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KISTI1.1003/JNL.JAKO200403039816076
ISSN:1226-6396
2234-4942